제 목 | 정적강화와 프리맥강화요~ | ||
---|---|---|---|
작성자 | yebin13 | 작성일 | 2018-02-12 10:45:32 |
조회수 | 1,663회 | 댓글수 | 2 |
쾌자극을 제공하여 행동의 발생빈도를 높인다는 것,
프리맥강화은 발생빈도가 높은 행동을 발생빈도가 낮은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한 강화자극으로
이용하는 방법이잖아요
기출문제 56쪽 14번문제에 준이가 음식을 골고루 잘 먹을때마다 준이가 좋아하는 동화책을 읽어주기로 했어요
이 문장에서 동화책이라는 것이 준이에게 쾌자극이 되어 음식을 골고루 잘 먹을 수 있으므로 ,
동화책이라는 보상물이라고 생각한다면 정적강화도 될 수 있는거 아닌가요?? ㅠ
16번 문제에서는 아이들이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어휘, 용어 올바르게 말할때마다 즉각적인 칭찬,격려 아끼지 않는다는 것에서
칭찬,격려라는 보상물을 주기때문에 정적강화가 답인데
14번도 동화책이 보상물이라고 생각한다면 정적강화가 될 수 있지 않나 궁금합니다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정적 강화의 정확한 정의는 계속 보상물을 주는 것이 아니라 보상물을 주어 행동의 발생빈도를 높이는 것입니다.
정적강화는 초기에는 물리적 보상을 사용하다 차츰 사회적 보상 즉 칭찬과 격려 등으로 바꾸어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프리맥 강화는 보상물이 아니라 유아가 선호하는 행동을 보상물로 이용하는 것입니다
기출문제 56쪽의 14번 문제에서 보상물은 동화책을 주는 것이 아니라 준이가 좋아하는 동화책을 읽어 주는 것 입니다. 이 문제의 의도는 보상을 물건이 아닌 유아가 선호하는 행동을 보상체계로 사용하는 강화의 유형을 물어보는 것 입니다. 16번 문제에서는 다른 강화의 유형에 해당하는 단서가 없으므로 당연히 정적 강화가 답이 됩니다.
다시 한번 요약하자면 기출문제 14번 문제에서 보상물은 동화책이 아니라 동화를 읽어주는 행동입니다. 따라서 답은 프리맥 강화입니다.
물론 프리맥 강화는 정적 강화의 한 유형에 속합니다.
추가로 정적강화는 부적 강화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행동 강화를 위해 자극을 제공하느냐 특정 자극을 제거하느냐에 따른 개념이고 프리맥 강화는 강화자극으로 물리적 또는 사회적 보상 대신에 유아가 선호하는 행동 목록을 이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시험 문제를 풀 때 답의 포인트는 주어진 지문의 의도를 파악하는데 있습니다.
상쾌와이님의 댓글
yebin13 작성일교수님 정말 감사합니다~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 열심히 공부할게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