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놀이 도와주세요,,ㅠㅠ | ||
---|---|---|---|
작성자 | sudle202 | 작성일 | 2024-07-08 10:03:37 |
조회수 | 533회 | 댓글수 | 2 |
첨부파일 | ![]() |
혼자 해결해보려니 막막해서 여기에라도 올립니다..ㅠㅠ
아시는 분 있으시면 꼭 하나라도 좋으니 도움 부탁드립니다..ㅠㅠ
[첫번째 : 브래드캠프와 로즈그란트의 교수행동 중 지원하기와 지지하기] - 기출변형 5번
‘초가집이 완성되어서 할 일이 없다고 생각하는 유아에게 동화책을 상기시켜줌으로서 새로운 놀이를 찾도록 동기유발 시켜준 것’이라는 내용이
-> 다음 놀이를 찾을 수 있도록 일시적인 도움을 주었다고 생각하였고, 이 지문은 다음 기출지문과 맥락이 비슷하다고 생각하여 지원하기로 생각했었습니다.
06년도 기출 “나뭇잎이 구르는 모습을 몸으로 표현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은 없을까?”이 지문도 기출지문과 같이 교사가 또 다른 새로운 표현방법을 생각해보도록 동기유발 했다는 점에서 두 지문의 맥락이 비슷하다고 느껴져서요..ㅠㅠ
기출변형지문 설명해주실 때 지지하기나 비계설정 설명하는 질문들이 유사하다고 말씀해주셨는데 기출변형 지문이 지원하기가 될 수 없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두번째 : 브래드캠프와 로즈그란트 교수행동 중 시범보이기와 지시하기] - 실전형 3번
강의에서 ‘선생님이 점프하는 거 잘 보세요. 이렇게 빨강 후프에는 한 발, 초록 후프에는 두 발로 깡충깡충 뒤면서 끝까지 가는 거예요.’에서 나타난 교사의 교수행동 유형은 ‘시범보이기’라고 말씀해주셨습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기출지문들을 보면
(06기출) 선생님이 옆으로 구르기를 보여줄게. 잘 보자
(13기출) 유아들에게 공 던지기의 정확한 동작을 ‘보여준다’
(특13추) 자, 이제 선생님이 아주 큰 케이크를 만들테니 잘 보렴
과 같이 교사는 자신의 행동을 관찰하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덧붙이지 않았습니다.
지시하기는 특정 방법으로 수행하기를 원해서 구체적으로 수행방법을 지시하는 것으로
(06기출) (옆으로 구르기가 잘 되지 않는 유아의 옆에 함께 누워서 구르기를 직접 보여주며) “선생님처럼 이렇게 누워서 팔을 위로 쭉 뻗고 굴러보자.”에서 문풀교재의 시범보이기 지문과 같이 자신이 시범을 보이는 동시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수행해야할지 언어적으로 설명하는 부분이 나옵니다. 구체적인 설명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지시하기로 생각하였는데 지시하기로 볼 수는 없는 것일까요..?ㅠㅡㅠ
[세번째 - 놀이 - 놀이지속시간표 해석방법] - 실전형 2번 (가)
<<표 사진은 첨부파일에 올려두었습니다>>
놀이 지속시간 표 해석할 때 항상 어려움을 겪어 도움를 구하고자 질문드립니다 ㅠㅠ..
1. 태희->지원, 용한->인혁같이
A -> B로 나타난 것은 어떻게 해석하면 되나요??
2. 저는 설희, 세라도 화살표가 이어지지 않고 9:29에 딱 이름이 적혀있기 때문에
‘놀이영역을 자주 바꾸어 놀이집중력이 비교적 떨어지는 ㄴ’이 설희, 세라도 될 수 있다고 생각했는데
가연이를 동그라미쳐두었기 때문에 가연이로 봐야하는 건가요?
댓글목록
coqls님의 댓글
jeong3720 작성일
1. 제가 선생님의 질문을 잘 이해한 것이 맞다면
촉진하기와 지원하기를 헷갈리신 것 같습니다. 촉진하기는 놀이의 동기를 유발하기 위해 혹은 확산적 사고를 유발하기 위해 유아에게 일시적인 도움을 주는 것이고 지원하기는 유아에게 필요한 도움을 고정된 범위 안에서 제공하며, 유아가 더이상 필요하다고 생각되지 않을 때 까지 계속해서 도움을 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지지하기는 유아가 현재 수준에서 스스로 하기 어려운 활동에 대해서 교사가 스스로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을 말해요.
선생님께서 주신 문장 중 [초가집이 완성되어서 할 일이 없다고 생각하는 유아에게 동화책을 상기시켜줌으로서 새로운 놀이를 찾도록 동기유발 시켜준 것]이 [나뭇잎이 구르는 모습을 몸으로 표현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은 없을까?]와 같은 맥락이라고 느끼셨다면 지원하기가 아니라 촉진하기가 되어야 맞습니다. 2006년 기출문제에서도 [나뭇잎이 구르는~]문장은 촉진하기의 예시로 나와있습니다.
2. 이건 저도 같은 의문을 가지고 있어서 답변드리기 어려울 것 같네요..
3.
1) 확실하진 않지만 A가 놀이했고 3분 지난 후 B가 와서 3분 놀이했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해당 영역에서 놀이한 유아가 바꼈다. 고 해석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이건 분석 방법에 놀이 영역을 자주 바꾸는 유아에 동그라미 해 놓는다고 교재에 나와 있습니다. 설희와 세라는 그 시간에 해당 영역에서 놀이했다는 것 만을 알 수 있고 놀이가 지속되었는지, 영역을 이후에 바꿨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끄릉이님의 댓글
sudle202
앗 감사합니다 선생님!! 지금 1번 문제 다시 읽어봐도 제가 강의내용을 잘못 이해했네요 ㅠㅠ 저도 읽으면서 이상하다 생각했습니다
도움주셔서 감사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