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자연탐구] 추론하기방법, 수세기 전략 | ||
---|---|---|---|
작성자 | hyeon5103 | 작성일 | 2023-07-10 10:10:04 |
조회수 | 251회 | 댓글수 | 3 |
첨부파일 | ![]() |
일반화하기 정의(정보나 사건의 규칙성을 인식하고, 유사한 상황에 대한 결론을 내리는 데 이 규칙성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에 따르면 강아지와 토끼가 반복되니까 일반화하기도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추리하기와 일반화하기를 어떻게 구분하나요..?
2) 물체세기-덜어내기에서 “구체적 물체”가 의미하는 게 뭔지 모르겠습니다..! 5에서 2를 뺀 3을 말하는건가요?
즉, 어떤 수에서 어떤 수를 뺐을때 나오는 그 값을 구체적 물체라고 하는건가요?!
(예: 7-2=5 -> 구체적 물체:5)
댓글목록
민와잉님의 댓글
sdr06040 작성일
1. 하나의 패턴만을 보고 일반화하기가 될 수 없습니다. 토기-강아지 패턴말고 다른 유사한 상황의 패턴에 적용하는 상황이 나와야지만 일반화하기가 됩니다! 예를 들어 버튼을 눌렀는데 먹이가 나왔다면, 앞으로 먹이를 먹기 위해 버튼을 계속 누르는 행위가 일반화하기가 되겠죠?
2. 사과 5개에서 사과 2개를 빼는 것이 구체적 물체입니당! 사과가 곧 구체적 물체가 되겟죠?. 이렇게 직접 볼 수 있고 만질 수 있는 물체를 사용하여 빼기를 하는 것이 덜어내기 입니다.
머릿속에서 5-2를 하는 것이 정신적 물체세기 이구요..! 각론강의를 다시 들어보세요!!
haily님의 댓글
hyeon5103
답변 감사합니다 ㅎㅎ~!
조교쌤임님의 댓글
아이미소조교 작성일
1) 추리하기는 배열된 패턴을 보고 규칙적인 관계를 토대로 다음에 무엇이 올지를 추측할 경우라고 쓰신 것처럼 유아가 아는 정보로부터(or 기존정보로부터) 제시되지 않은 정보를 찾아내는 것입니다.
(위의 예시도 유아 눈에 보여지는 패턴 규칙인거니까 유아가 아는 정보라 할 수 있고, 그 정보로 제시되지 않은 다음에 올 패턴을 추측하는 거죠.)
일반화하기는 정보나 사건의 규칙성을 인식하고 유사한 상황에 대한 결론을 내리는 데 자신이 알게된 규칙을 적용하는 것이죠. 즉 한가지 원리를 이해하면 다른 상황에서도 적용해서 문제해결하는 것입니다.
유아교육과정 4의 35쪽의 예를 참고하시면 좋읗 것 같아요.
예시를 잘못 들면 오개념이 생길 수 있으니까요! ^^
2) 수를 익힐 때도 구체적인 물체를 사용하는 것처럼
연산에 있어서 유아들은 아직 머릿속으로 수를 빼는 것이 불가능하기에 구체적인 물체로 빼기와 더하기를 합니다!
수세기 유형도 즉지화 - 말로 세기 - 물체 세기 - 손가락 세기 - 정신적 세기 처럼...
연산의 덧셈은 구체적 물체 세기 -손가락 대체물 사용해서 세기 - 정신적 세기로 이루어집니다.
뺄셈도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