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예술경험 질문입니다! | ||
---|---|---|---|
작성자 | psr0102 | 작성일 | 2020-06-05 00:22:09 |
조회수 | 1,075회 | 댓글수 | 1 |
1. O Brien과 Mursell의 음악 감상 유형 비교에서 머셀의 지각적 감상이 오브라인의 비판적 감상과 비슷하다고 설명해주셨는데, 설명을 읽어보았을 때 지각적 감상이 심미적 감상과 비슷해보여서요!
지각적 감상이 음악의 형식과 구성을 파악하는 것이므로 음악의 특징을 파악하는 심미적 감상과 더 가까운게 아닌가요? 비판적 감상은 작곡가나 작품에 대한 곡의 해석인데 음악의 형식과 구성을 이해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지 않나요??
2. 도기호와 형태 도식(인물, 공간 도식)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3. 골롬보의 입체 표현발달 단계에서 탐색기의 특징에 '찰흙을 길게 잡아 늘려 팔, 다리를 붙이는 인물을 만들기 시작한다.'라고 되어있고 다음 분화기의 특징에서 '두족류의 인물 표현을 한다'고 되어있는데 탐색기의 특징도 두족류의 표현을 설명하는 것 아닌가요?
4. 유아 미술 표현 상의 특징에서 미분화 표현과 강조된 표현을 구분하지 못하겠어요ㅠ 둘다 비례를 무시한 (예를들어, 집보다 큰 꽃)표현이 나타나는데 사례에서 나온다면 어떻게 구분해야 할까요?
5. 459쪽 명화감상활동의 단계적 지도방법 설명하실때, 자세히 관찰하고 느낌이야기하기 단계가 펠드만의 서술 단계로 보라하셨는데, 동그라미 2번 설명을 보면 '단순히 그림에서 무엇을 보았는가 질문하기 보다~'라고 되어있어서 서술단계라고 보기어렵지 않나요? 굳이 따지자면 앤더슨의 반응 단계인 것 같은데 제가 잘못 들은건지,,
질문이 너무 많네요ㅠㅠ 게시판 한번씩 검색해봤는데 안나와서요ㅠㅠ
항상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조교쌤임님의 댓글
아이미소조교 작성일
1. 선생님께서 말씀하신게 맞는 것 같습니다^^
2. 게시판에 검색하면 교수님께서 남긴 댓글이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3. 찰흙 덩어리에서 쭉 늘려서 팔이나 다리를 만드는 것이 탐색기이고 팔, 다리를 따로 만들어 붙이는 것이 분화기입니다^^
4. 둘 다 비슷한데 차이점은 강조된 표현은 자기중심적인 표현이 강한 표현입니다^^ 하지만 예시 그림만 주어지면 구별하기가 힘든데 아마 기출이 된다면 차이점에 관련한 지문이 추가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5. 선생님께서 타이핑 치신 문장의 일부분에서 그 뒷 부분을 읽어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