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수학교육 질문 | ||
---|---|---|---|
작성자 | psr0102 | 작성일 | 2020-05-21 17:56:28 |
조회수 | 1,131회 | 댓글수 | 1 |
1. p.43 숫자인식 부분에 2에 ㄱ설명을 보면
'숫자를 읽으려면 각 숫자의 모양에 대해 ~ 하고, 운동적 게획 능력이 있어야한다'고 되어 있는데, 읽는데에도 운동적 계획 능력이 필요한가요??
2. p.51 델그란트의 공간능력에 '공간 내 위치지각'과 '공간 관계 지각'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설명이 똑같은 것 같아 헷갈려요
3. 54쪽 clements의 조각모으기 단계와 그림만들기 단계를 사례에서는 어떻게 구분하나요? 참고자료에 7가지 순서 안에서도 구분을 못하겠어요
4. 61쪽 조절전략 설명에 세번째 동그라미를 보면, '전혀 조절이 되지않아 두 도형이 서로 떨어져있거나 뒤틀어진채 비교하기'라고 되어있는데 이것이 조절전략이라고 본다면 사례에서 유아가 조절하려는 시도를 한 것이 드러나나요? 저 설명의 결과만 봐서는 놓기전략 같아서요
5. 순서짓기 유형 중 이중 서열은 한가지 속성에 따라 짝을 짓고 배열한다고 이해하는게 맞나요??
6. 62쪽 연령별 순서짓기능력 발달 3~4세에서 길이가 다른 막대를 주면 아무렇게나 놓는다라고 하였는데 이게 두세 개 보다 많아졌을 때 이야긴가요?? 위에 동그라미랑 상반되는 설명같아요
댓글목록
조교쌤임님의 댓글
아이미소조교 작성일
1. 운동적 계획의 설명은 바로 밑에 있습니다^^ 읽어보시면 왜 필요하신지 알 것 같아요!
2 & 3. 선생님! 게시판 검색은 해 보셨나요?ㅠㅠ 검색하시면 비슷한 질문을 하신 선생님들이 있습니다ㅠㅠ 한 번 검색해보실까요?ㅠㅠ
4. 놓기전략은 대강 모양이 비슷한 것이고 조절전략은 모양이 비슷하지 않아서 한 변이나 한 꼭지점 등을 같게 해서 조절하면서 비교하는 전략입니다^^
5. 한 가지 속성에 따라 짝을 짓는 것은 단순서열입니다^^
6. 앞에 부분만 보면 다른 의미이지만 잘 읽어보시면 비슷한 맥락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