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셜츠비 질문입니다. p.364 | ||
---|---|---|---|
작성자 | rosapooh7 | 작성일 | 2020-04-29 18:44:06 |
조회수 | 1,456회 | 댓글수 | 2 |
셜즈비의 이야기 책 읽기 행동의 발달에서
그림읽기는 이야기가 없는거고
이야기가 형성되는 읽기에서는 그림을 근거로 이야기를 만드는 거 이 때 문어체가 사용되나요?
문제 언어식 읽기 지도에서 세 단계로 나뉘는데 이때는 읽기 흉내를 내는 수준이잖아요 그러면 윗 단계와 차이가 뭔가요? 윗 단계도 읽기 흉내를 내는 것 아닌가요?
1. 글자를 보지않고 읽기, 이야기를 혼합하여 읽는 형태: 이 단계에서는 어쨌든 흉내내기니까 철자체계를 모르잖아요 특징은 청중을 의식하는 것이고 근데 문자 중심 읽기 시도로 옮겨간다는건 그림과 글자를 보고 어떻게든 연결을 시도한다는 건가요?
2. 글자에 초점을 맞추면서 원본 이야기와 비슷하게 읽기: 이때 글자에 초점을 맞춘다는게 어쨌든 글자를 모르는데 어떻게 초점을 맞춘다는 거에요? 글자의 음절적 인식 정도는 한다는 건가요? 글자가 길게 쓰여져있으면 길게 읽는건지 탈맥락화된 언어를 사용한다는 건 이야기 읽는 상황에 대한 탈 맥락화라는 거죠? 이야기 책에 쑥 들어가는 상황이니까요 그럼 여기서 탈맥락화된 언어는 무슨 언어인가요? 문어체 이야기를 확실하게 사용한다는 의미인가요?
3. 원본대로 읽기: 글자를 인식하고 원본에 있는 글을 그대로 읽으려고 노력한다는 건 어쨌든 철자규칙을 모르는 상태일텐데 동화 내용을 다 외운 상태인건가요? 이야기 내용은 세분화되고 탈맥락화 되어 그림을 보지 않고도 이해한다는 건 그 내용을 다 외워서 머리 속으로 상상해서 그 내용을 이해한다고 해석해야하는건가요?
문자보며읽기1단게가 철자규칙에 따라 읽어야함을 아는 건데 그럼 문자언어식 읽기 지도는 철자규칙에 따라 읽어야 함을 모르는 상태니까 동화 내용을 다 외우는 건지.. 아니면 단어군에 초점을 맞추는 건지 (둘다 아닌거 같아요) 어쨌든 철자법대로 읽을 줄 모르고 그림을 단서로 내가 기억나는 대로 점점 자세히 읽는 것 같긴 한데 저 명칭드링 너무 이해가 안되요. 글자에 초점을 맞춘다는게 글자를 모르는 애가 어떻게 글자에 초점을 맞추나요ㅠㅠ 셜즈비 너무싫네요
댓글목록
miji0198님의 댓글
miji0198 작성일
안녕하세요 선생님:)
먼저 그림읽기는 이야기가 형성되지 않는 읽기를 시도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문어체이야기를 만들어내는 형태는 셜즈비보다 클레이의 단계 중 2단계로 알아두시는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문자 언어식 읽기시도는 말 그대로 이제 문자 언어를 읽으려고시도하는 단계로 이야기가 형성되는 읽기보다는 더 읽기수준이 발달된 단계입니다.
1. 문자 중심 읽기 시도는 아무데나 보고 읽는 것이 아니라 책에서는 문자를 중심으로 읽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읽는 것을 뜻합니다.
2. 알고 있는 글자에 초점을 두면서 자신이 알고있는 원본과 비슷하게 기억해내어 읽는다는 것입니다.
3. 원본대로 읽기는 원본의 글을 그대로 읽으려고 노력하며 그림을 보지 않고도 이야기 내용을 이해하는 단계입니다.
선생님 각 학자마다 단계별로 내용이 유사하지만 그 속에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ㅠ학자별로,단계별로 특징만 잘 잡아서 공부하시면 더 이해가 잘 되실것 같아요ㅎㅎ
로사리우님의 댓글
rosapooh7
선생님 그렇다는 것은 문자 언어식 읽기시도 때는 글자를 모른다는게 아니라 알고있다는 거잖아요. 그런데 왜 다음단계에서야 읽기 거절이 일어나는지 모르겠어요.
그림을 보지 않고도 이야기 내용을 이해한다는 것이 문장을 외워서 그 문자의 형태를 외운것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