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언어발달] 발달이론 - 구성주의 | ||
---|---|---|---|
작성자 | Sjuwooo37 | 작성일 | 2020-04-16 13:19:08 |
조회수 | 932회 | 댓글수 | 1 |
1. 비고츠키가 말한 자연적 발달과 문화적 발달의 예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는데 잘 떠오르지 않아 부연설명 부탁드립니다.
2. p329에 2번 문제를 보면 A는 피아제의 관점을 반영한다고 나와있습니다. 자기중심어 비율의 경우 피아제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지 않고 일정하게 나타난다고 보는 이유가 의미로는 이해가 가는데 정확한 문장으로 표현이 어렵네요. 자기중심적 언어에서 사회적 언어로 발달하는 거면 초기에 자기중심어 비율이 높아야 하는 거 아닌가요?? 인지적으로 탈중심화가 되면서 뒤에 가서 조금씩 낮아져야 하는 거 아닌가요??
질문이 너무 많네요 ㅠㅠㅠ...
2. p329에 2번 문제를 보면 A는 피아제의 관점을 반영한다고 나와있습니다. 자기중심어 비율의 경우 피아제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지 않고 일정하게 나타난다고 보는 이유가 의미로는 이해가 가는데 정확한 문장으로 표현이 어렵네요. 자기중심적 언어에서 사회적 언어로 발달하는 거면 초기에 자기중심어 비율이 높아야 하는 거 아닌가요?? 인지적으로 탈중심화가 되면서 뒤에 가서 조금씩 낮아져야 하는 거 아닌가요??
질문이 너무 많네요 ㅠㅠㅠ...
댓글목록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안녕하세요. 박성희입니다.
1. 자연적 발달은 유아가 감각적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얻게 되는 인지구조이고 문화적 발달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서 얻게 되는 인지구조입니다.
2. 그래프를 잘못 이해한 것 아닐까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A는 만 5-6세 이후에 감소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