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놀이 질문 | ||
---|---|---|---|
작성자 | psr0102 | 작성일 | 2020-04-09 01:27:58 |
조회수 | 889회 | 댓글수 | 1 |
1. '놀이교수의 하위범주인 외적중재'와 '현실의 대변인' 이 부분에서 놀이교수의 외적중재 설명에 보면 '교사가 놀이 발전에 도움이 될 제언이나 질문 등을 하며 중재한다.' 라고 되어있고 현실의 대변인에 보면 '교사는 놀이에 참여하지 않고 적절한 질문과 제언을 함으로써 ~ 자극하는 역할을 한다.' 라고 되어있는데, 둘다 같은 설명인 것 같아서 어떻게 구분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2. 놀이 참고자료3의 wasserman의 교사 신념과 놀이에서
'놀이에 대한 교수효능감은 교사의 효과적인 놀이 참여와 개임이 유아의 놀이 활도에 영향을 미칠것이라는 결과 기대에 대한 신념과 놀이를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다는 자기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이다'
라고 나와있는데 설명은 반두라인데 교수 효능감이라고 나와있어서요! 반두라가 말한 자아효능감과 교수효능감은 같은 것인가요?
댓글목록
miji0198님의 댓글
miji0198 작성일
안녕하세요.
1. 외적중재의 포인트는 '교사가 놀이 상황 밖에서' 제안하는 것이고, 현실의 대변인의 포인트는 놀이가 '학문적 내용의 교수 매체로 활용'된다는 것입니다.
2. 반두라가 말한 자아효능감을 교사의 교수상황에서 용어를 사용할 때 '교수효능감'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자세한 설명은 교사론 부분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아요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