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예술 경험]미술교육 2020기출 버트 | ||
---|---|---|---|
작성자 | b31179 | 작성일 | 2023-06-08 09:55:27 |
조회수 | 460회 | 댓글수 | 2 |
첨부파일 | ![]() |
상징적 도식을 이용하여서 반복적으로 그린 그림 이라고 생각해서 묘사적 상징기로 답을 적었는데요
무엇을 보고 묘사적 사실기라고 판단할 수 있는 건가요? 도란도란에 올라온 질문의 답변을 봤는데도 잘 이해가 안되네요 ,,..ㅠㅠ
댓글목록
민와잉님의 댓글
sdr06040 작성일
이 부분은 기출강의에서 따로 자세히 설명해주십니다..! 기출 강의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제 생각으로는 출제자의 의도는 묘사적 상징기라고 생각됩니다.. 다른 강사님들도 모두 묘사적 상징기라고 답을 내셨더라구요. 임쌤은 문제가 정교하지 못한거라고 하셨어요.
사람그림은 묘사적 상징기가 맞는데 호랑이 그림은 위의 대화에서 호랑이에 대한 자세한 묘사와 함께 그림을 그린 것이라서 상징적 도식을 반복한 것보다는 호랑이를 사실적으로 그리도록 노력한 묘사적 사실기에 가깝다고 하셨습니다.
문제가 정교하지 못한거라고 생각하시고, 호랑이 그림보다는 사람그림 예시를 통해 묘사적 상징기의 대표적인 사례로 알아두시면 되겠습니다. 아마 이후 시험문제는 정확하게 나올거에요. 이때 논란이 많았기 때문에 후에 나올 가능성이 큽니다
민와잉님의 댓글
sdr06040 작성일
또한 도란도란에 있던 답변이 교수님이 말씀하신 내용을 그대로 잘 설명하셨어요
감상활동을 통해서 상징적으로 그리던 유아들(가족그림을 그린 오른쪽 그림)이 감상 후 사실적 표현을 한 묘사적 사실기(호랑이와 관련된 대화를 통해 호랑이 그림을 그림)로 발달한 것으로 보아 묘사적 사실기 일거라고 하셧어요. 임교수님 말씀대로라면 가족그림이 왼쪽, 호랑이 그림을 오른쪽에 두어 유아들이 묘사적 상징기에서 사실기로 발달된 모습을 보여줫더라면 출제자가 묘사적 사실기를 염두에 두었을 텐데..! 그림이 순서대로 배치되지 않아 그냥 출제자의 의도는 묘사적 상징기라고 판단됩니다..
임교수님 말씀도 일리가 있으니 이런문제였구나~ 하고 그냥 이해만 하세요. 논란이 많은 문제를 굳이 한쪽 답으로만 이해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