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자연탐구] 반힐레,클레멘츠 | ||
---|---|---|---|
작성자 | hyeon5103 | 작성일 | 2023-06-20 09:48:23 |
조회수 | 277회 | 댓글수 | 2 |
1) 반힐레 기술적/분석적 인식 수준과 관계적/추상적 인식 수준의 정확한 차이점이 뭔가요..?!
기술적/분석적 인식 수준은 ‘도형의 구성 요소와 성질에 대해 알게 된다.’ , 관계적/추상적 인식 수준은 ‘~순수한 도형의 입장에서 정의한다.’ 이렇게 설명이 나와있는데, 도형의 입장에서 정의하는게 그 도형의 구성 요소,성질을 정의한다는 말 아닌가요…?
강의에서도 예시로 기술적/분석적 인식 수준은 ‘세 변을 가진 도형’ , 관계적/추상적 인식 수준은 ‘세 개의 모서리 각 합이 180도’ 라고 설명해주셨는데 무슨 차이점이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2) 클레멘츠의 통합적 수준과 기술적 수준의 차이가 뭔가요…? 이것도 1) 과 비슷한 맥락으로 통합적 수준은 ‘모양의 속성이나 요인 언급’ , 기술적 수준은 ‘도형의 구성 요소와 성질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음’ 으로 설명되어있는데 정확한 구분이 어렵습니다!ㅠㅠ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예시가 있을까요?!
기술적/분석적 인식 수준은 ‘도형의 구성 요소와 성질에 대해 알게 된다.’ , 관계적/추상적 인식 수준은 ‘~순수한 도형의 입장에서 정의한다.’ 이렇게 설명이 나와있는데, 도형의 입장에서 정의하는게 그 도형의 구성 요소,성질을 정의한다는 말 아닌가요…?
강의에서도 예시로 기술적/분석적 인식 수준은 ‘세 변을 가진 도형’ , 관계적/추상적 인식 수준은 ‘세 개의 모서리 각 합이 180도’ 라고 설명해주셨는데 무슨 차이점이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2) 클레멘츠의 통합적 수준과 기술적 수준의 차이가 뭔가요…? 이것도 1) 과 비슷한 맥락으로 통합적 수준은 ‘모양의 속성이나 요인 언급’ , 기술적 수준은 ‘도형의 구성 요소와 성질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음’ 으로 설명되어있는데 정확한 구분이 어렵습니다!ㅠㅠ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예시가 있을까요?!
댓글목록
민와잉님의 댓글
sdr06040 작성일
1. 3단계는 명제적인 개념을 사용합니다. "명제"가 키포인트 입니다. 2단게는" 시각적으로" 지각되는 모양을 분석하는 것입니다. 3개의 각도가 180도라는 점은 시각적으로만으로 파악하긴 힘들죠?
2.
통합적 수준: 원은 데굴데굴 굴러가, 네모는 착착 쌓여져, 세모는 끝이 뾰족해
기술적 수준: 세모는 뾰족한 꼭지가 3개에다가 선이 3개 있어
haily님의 댓글
hyeon5103
답변 감사합니다 ㅠㅠ !! 이해 됐어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