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사회관계] 2017 기출 | ||
---|---|---|---|
작성자 | hyeon5103 | 작성일 | 2023-06-20 21:04:55 |
조회수 | 223회 | 댓글수 | 2 |
첨부파일 | ![]() ![]() |
1) 동그라미1번의 답이 왜 관광식 접근법인가요?! 다문화 교육 접근법은 정답이 될 수 없는건가요?
다문화 교육 접근법과 관광식 접근법을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2) 동그라미2번은 사진 속 반편견 교육의 영역 분류 중에서 쓰는 건가요?
다문화 교육 접근법과 관광식 접근법을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2) 동그라미2번은 사진 속 반편견 교육의 영역 분류 중에서 쓰는 건가요?
댓글목록
조교쌤임님의 댓글
아이미소조교 작성일
1) 다문화 교육 접근법의 특징 (교육과정 3 - 163쪽~165쪽) 참고!
관광식 접근법은 사회관계 수업 할 때 나누어 주신 프린트물(참고자료)에 관광식 접근법 의미, 문제점, 지양하기 위한 지침 등이 나와 있습니다.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2) 동그라미 2번은 '교육과정 3 - 241쪽 : (1) 반편견 교육의 주요 목표'에 해당합니다. (그 중 동그라미 1번)
민와잉님의 댓글
sdr06040 작성일
1. 문제를 잘 읽어보시면 ㄴ과 관련해서 쓰라고 하였습니다. ㄴ에서 말한 내용 자체가 관광식 접근법에 대한 설명 중 하나입니다. 더만스파크스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 접근법이 다문화교육접근법이 아닙니다~!
2. 아니요~ 교육목표 중에 쓰는 것입니다. 교육 목표가 기존에 알던 긴 문장이 아니라 단어로만 나와서 이해가 안되셨을거에요. 목표 1~4중에 ㄷ에 대한 설명은 2. 3,4 번을 함축적으로 표현한 것이에요. 1번 목표인 정체성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답은 정체성 형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