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유아평가] 관찰법 | ||
---|---|---|---|
작성자 | hyeon5103 | 작성일 | 2023-06-22 11:52:11 |
조회수 | 203회 | 댓글수 | 2 |
2) 사건 표집법 중 지속 시간 사건 표집법은 약호식 관찰법에 해당하는 건가요?
댓글목록
민와잉님의 댓글
sdr06040 작성일
1. 관찰법은 "검사법"에 비해 신뢰도와 객관성이 낮을 수 밖에 없습니다. 검사법은 객관적인 어떠한 규준에 근거하여 검사를 하는 것이지만 관찰법은 유아의 행동을 보고 관찰자가 기록하는 것이기 때문이에요. 따라서 본 설명은 검사법과 비교했을 때 나타나는 단점을 의미합니다.
일화기록법은 그 상황 자체를 사실적이고 객관적으로 기록한다는 특징이 있는 한편, 관찰자가 직접 기록하는 것이기 때문에 주관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기록할 수 잇으므로 동시에 주관적 해석이 나타나는 단점이 발생합니다.
오로지 관찰자의 능력에 달려있어 사실적인 기록이될 수 있지만 반대로 오히려 객관성이 떨어질 수 도 있습니다.
모든 관찰법의 유형이 신뢰도와 객관성이 낮다고 단편적으로 암기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약호식 관찰법은 서술식 관찰법에 비해 객관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검사법에 비해 신뢰도와 객관성이 낮다" 라고 외우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관찰법을 공부하는 포인트는 각 관찰법의 유형에 따른 특별한 장점과 단점을 이해하고 계시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같은 약호식 관찰법내에서도 무조건 모두 다 객관성이 높은 것은 아니기 때문에(평적 척도법은 다른 약호식에 비해 주관성이 개입됩니다.) 한번에 묶어서 암기하기 보다는 각 관찰법의 특별한 특징들을 중심으로 암기하세요!
2. 이해하신게 맞습니다.
haily님의 댓글
hyeon5103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 혼란스러웠는데 다시 정리해보면서 외워야겠네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