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유아 평가] 포트폴리오의 유형, 사회성 측정법 | ||
---|---|---|---|
작성자 | skdmsdpdms | 작성일 | 2020-03-23 22:52:53 |
조회수 | 1,447회 | 댓글수 | 2 |
1. 작업 포트폴리오와 학습 포트폴리오에 대한 구분에 대한 도란도란 게시글은 있는데 학습 포트폴리오와 평가 포트폴리오에 대한 구분은 찾기 어려워 질문 남깁니다.
학습 포트폴리오와 평가 포트폴리오 둘다 유아의 진보를 나타내는 작품들로 구성된다는 것은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학습영역에 따라 작품이 구성된다는 것과(학습 포트폴리오) 프로그램의 목적, 목표, 기준에 따라 아동의 진보를 평가하기 위해 활용한다는(평가 포트폴리오) 글만 보고 구분이 어려워 질문 남깁니다.
2. 사회성 측정법의 단점으로 ‘통계적 분석에서 많은 제한점이 있다.’가 제시되어 있는데요.(300p) 사회성 측정 행렬표 같은 것을 보면 수치화하고 그것을 비교하기 때문에 통계적 분석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 질문 남깁니다. 사회적 관계라는 것이 통계적 결과로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이고 종합적으로 관계가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통계적 분석에 제한이 있다는 뜻인가요?
답변 남겨주시는 분들 정말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안녕하세요. 박성희입니다.
1. 모든 트폴리오는 유아와 유아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서 활용된다는 전제에 기초해서 유형별로 다른 목적이나 방법을 기준으로 구분해야합니다.
학습포트폴리오와 평가포트폴리오를 구분하는 것은 학습 영역별 변화를 평가하는 것(의사소통, 자연탐구 등), 평가포트폴리오는 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목적, 목표에 준하여 유아의 발달이 이루어졌는지(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입니다.
2. 통계적 분석이란 수량화한 자료를 비교하는 것을 넘어서서 비교적 방대하게 수집한 자료를 다양한 방법으로 정리하고 유목화하여,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들간의 상관,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 숨어있는 의미를 밝히는 것으로 간단하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사회적 측정법은 수집한 자료의 형태나 양이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는데 적절하지 않기 때문에 사회도를 그리거나 행렬표를 사용하여 분석합니다.
낭니님의 댓글
skdmsdpdms
선생님 설명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