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놀이 질문 | ||
---|---|---|---|
작성자 | psr0102 | 작성일 | 2020-03-25 00:53:51 |
조회수 | 842회 | 댓글수 | 2 |
1. Wood 놀이지도 방법 중 놀이교수에서 하위범주인 외적 중재와 현실의 대변인을 어떻게 구분하나요?
2. 놀이 참고자료3의 wasserman의 교사 신념과 놀이에서
'놀이에 대한 교수효능감은 교사의 효과적인 놀이 참여와 개임이 유아의 놀이 활도에 영향을 미칠것이라는 결과 기대에 대한 신념과 놀이를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다는 자기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이다'
라고 나와있는데 설명은 비고츠키인데 교수 효능감이라고 나와있어서요! 비고츠키가 말한 자아효능감과 교수효능감은 같은 것인가요?
3. 놀이 워크북 81쪽 8번에 2 대화에 대한 설명이 '현재 놀이 활동, 흥미, 상황에 대한 긍정적 강화'라고 되어 있는데 왜 대화가 긍정적 강화인가요?
4. 놀이 기출 p.133 7번 사례에 중간 괄호 속에 '교사와 유아들은 함께 역할을 정하였다' 라고 나와있는데
2020기출에 나온 것에 (하우웨이론) 따르면 이 부분을 상위 의사소통을 사용했다고 봐도 되는건가요?
5. 기출 142쪽 15번에 '아, 이꽃을 찍어 책을 만들면 좋겠다. 선생님 사진기가 필요해요.'는
언어적 의사소통 중 상위 의사소통으로 볼 수 있나요?
6. 에릭슨이 말한 자기세계의 놀이 단계에서 '자신이 다른 사람과 다르다는 것을 이해하게 된다.'라고 되어있는데, 자신의 신체를 가지고 반복해서 놀이하는 것에서 어떻게 다른 사람과 다름을 이해할 수 있나요?
댓글목록
조교쌤임님의 댓글
아이미소조교 작성일
1. 현실대변인은 놀이교수의 하위범주가 아닙니다ㅠㅠ
현실대변인은 놀이를 교수매체로 활용하여 놀이 중에 학문적 내용을 교수하는 지도방법입니다.
2. 왜 설명이 비고츠키라고 생각하신 말씀해주실 수 있으신가요?ㅠㅠ 또 비고츠키가 자아효능감에 대해 말한 부분이 없는데 혹시 관련된 출처를 알 수 있을까요?ㅠㅠ
3. 대화를 통해 현재 놀이 활동에 유아가 흥미를 갖게 되며 이를 통해 놀이 상황에 대한 긍정적 강화가 됩니다.
4. 주어진 지문만을 가지고 상위 의사소통이 일어났다고 보기에는 조금 부족한 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ㅠㅠ
5. 같은 질문을 하신 다른 선생님이 계십니다^^
교수님께서 답변하셨습니다ㅎㅎ
게시판 검색 조건을 '제목+내용'으로 설정하시고 '사진기'라고 검색하면 나옵니다^^
한 번 검색해보실까요?ㅎㅎ
6. 다른 사람과 비교합니다^^
유교님의 댓글
psr0102
1. 아 '놀이교수의 하위범주인 외적중재'와 '현실의 대변인' 이요!! 놀이교수의 외적중재 설명에 보면 '교사가 놀이 발전에 도움이 될 제언이나 질문 등을 하며 중재한다.' 라고 되어있고 현실의 대변인에 보면 '교사는 놀이에 참여하지 않고 적절한 질문과 제언을 함으로써 ~ 자극하는 역할을 한다.' 라고 되어있는데, 둘다 같은 설명인 것 같아서 어떻게 구분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2. 앗 비고츠키가 아니라 반두라를 잘못이야기 했네요.. 반두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