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교육과정론 질문 | ||
---|---|---|---|
작성자 | psr0102 | 작성일 | 2020-03-21 22:46:09 |
조회수 | 1,586회 | 댓글수 | 1 |
워크북 179쪽 20번이 상호작용적.구성주의 학습관에 대한 설명이라 그랬는데 (2)번은 순환적 모형에 대한 설명아닌가요? 상호작용적.구성주의 학습관에 순환적 모형이 포함된 것인가요? 인강에서 이부분에 대한 설명은 못들은 것 같아서요ㅠㅠ
목적하는 준거를 얼마나 정확하게 예언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가의 정도인 예언 타당도의 개념이 이해가 가질않아서 예를 들어주실 수 있나요?
까미-드브리스 프로그램의 논리-수학적 지식이 '아동과 물체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얻어질 수 있는 지식을 말한다.'라고 되어있는데 개론 책의 물리적 지식 설명을 보면 '사물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직접적인 경험적 추상에 의해 구성된다.'라고 되어있습니다. 이 두 내용만 보자면 논리-수학적 지식의 내용이 물리적 지식 포함하는 것 처럼 보여서요..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전이가 높다"는 말이 무슨뜻인가요??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조교쌤임님의 댓글
아이미소조교 작성일
1. 네! 그렇습니다~
2. A학생은 작년에 2차 최종탈락을 하신 분이고, B학생은 작년 1차 -10점으로 떨어지신 분인데
이번 개론 총괄평가 상위 점수는 A학생의 예언 타당도는 B학생에 비해 높을 것입니다.
3. 교재 내용은 이기숙(2014). 유아교육과정. 교문사. 에서 발췌한 내용인 것 같습니다.
물리적 지식은 사물의 특성에 초점을 두어 상호작용하는 측면으로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고,
논리-수학적 지식은 유아와 사물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분류나 공간 개념 등의 지식을 얻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