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비
`
  • 상담문의

제 목 [자연탐구] 2018기출 / 2020 기출
작성자 skyrlue126 작성일 2020-03-16 10:40:08
조회수 987회 댓글수 0

2018 기출 아이미소 영역별 기출 문제집 번호 30번

 

(유아들이 활동을 충분히 한 후)

김 교사 : 자석에 붙여 보니까 어떻게 되었니?

민희 : (나무 블록을 가리키며) 이건 붙지 않았어요.

수민 : (가위 앞을 가리키며) 이쪽에 붙이면 붙는데 (손잡이를 가리키며) 이쪽에는 붙지 않았어요.

나라 : (쇠집게를 가리키며) 이건 자석에 붙고 (지우개를 가리키며)이건 안 붙었어요.

 


2020 기출 아이미소 영역별 기출 문제집 번호 31번

 

장 교사 : 찰흙이 왜 이렇게 부드러워졌을까?

효린 : 물을 많이 넣었거든요.

장 교사 : 물을 넣고 나니까 찰흙이 어떻게 변했니?

효린 : 더 말랑말랑해졌어요.

 

 

2020 기출에 따르면 위에 쓴 저 부분을 c로 묶어서 장 교사의 발문에서 의도한 유아의 과학적 탐구 과정을 쓰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답이 '추론하기'였구요

그런데 장교사의 첫번째 말은 왜 부드러워 졌는지에 대한 원인을 생각해 보도록 하기 때문에 '추론하기'에 해당하는 것이 맞는데 그 다음 장 교사의 말은 '관찰하기'또는'의사소통하기'에 해당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c의 전체적인 맥락을 보면 답은 추론하기 이지만 두번째 장교사의 말은 어떤 탐구기술에 해당하는 발문인지 궁금합니다!!

 

또 위에 2018 문제에서 김 교사의 말도 2020기출에 근거하면 추론하기에 해당하는 것인지 아니면 관찰하기나 의사소통하기에 해당하는 것인지 궁금해요!!

 

설명이 길었지만 제가 질문하고자 하는 것은 빨간색 글씨로 표시해둔 2018 기출 김 교사의 말과 2020 기출 장 교사의 발문이 어떤 탐구기술을 장려하는 것인가 입니다.

 

  • 목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도란도란 목록

Total 5,615건 124 페이지
도란도란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772 유아교육사상- 페스탈로치 직관교육론 댓글(2) gihyesss1 20-03-20 1146
3771 [유아교육과정론] 비셸 댓글(2) chgrace1 20-03-20 1343
3770 [유아교육과정론] 교수 학습의 기본 원리 댓글(1) sujin3923 20-03-20 1447
3769 놀이 유형. 집단 게임 발달 단계 댓글(1) 첨부파일 qordmsal351 20-03-19 905
3768 해설서.지도서.각론서 댓글(1) hyelin1222 20-03-18 967
3767 [발달] 반두라 이론에 대한 평가(유아교육과정 256p.) 댓글(1) somsam7618 20-03-17 1453
3766 [놀이] 놀이의 특성 댓글(1) sujin3923 20-03-17 1372
3765 [정보처리이론] 기억 과정 haenakang 20-03-16 2198
3764 놀이중심과 프로젝트와 차이점이 뭘까요 댓글(1) happy9597 20-03-16 1474
3763 [교사론] 실천적 지식 댓글(1) hyoji4330063 20-03-16 1033
3762 [놀이] Levy의 놀이의 특징 댓글(2) minji0751 20-03-16 1510
열람중 [자연탐구] 2018기출 / 2020 기출 skyrlue126 20-03-16 988
3760 기출 질문 댓글(1) psr0102 20-03-16 1416
3759 [부모 교육] 앱스테인 유치원-가정 연계 유형 댓글(2) skdmsdpdms 20-03-15 1701
3758 [총론]공통과정과 교육과정의 차이점 댓글(1) Sjuwooo37 20-03-15 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