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기출문제] 놀이의 이론과 실제 | ||
---|---|---|---|
작성자 | skdmsdpdms | 작성일 | 2020-03-12 12:51:10 |
조회수 | 1,027회 | 댓글수 | 2 |
첨부파일 | ![]() ![]() |
기출문제 16번 보기 ㄷ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출제자가 왜 ㄷ과 같은 보기를 넣었을까 생각해보았는데요. 가역적 사고 > 물활론적 사고로 변경해야한다는 것은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지문에서 물활론적 사고, 가역적 사고의 특성 모두 발견할 수 있는 부분이 없다고 이해한 것은 맞는지 궁금합니다!
기출문제 21번은 파튼의 놀이유형과 관련된 문제인데요. 문제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지문 분석을 하던 중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ㅁ으로 밑줄 친 곳을 보면 수진이와 민주가 둘다 엄마 역할을 한다는 것을 합의한 대화가 나와있는데 이것을 역할 분담으로 볼 수 있는 것인지 이것만을 바탕으로 협동 놀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댓글목록
miji0198님의 댓글
miji0198 작성일
안녕하세요 선생님:)
1.제 생각에는 본 지문에서 원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 '가역적 사고'와 모든 사물이 살아 있다고 생각하는 '물활론적 사고'의 특성은 나타나있지 않습니다.
2. 제시된 'ㅁ'의 지문은 협동 놀이가 아닌 '연합놀이'에 해당합니다. 그 이유는 수진이와 민주가 언어적으로 상호작용은 하지만 같은 놀잇감으로 다른 놀이를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제 생각으로 민주와 수진이가 둘다 엄마역할을 하기로 대화를 하긴했지만 이를 협동놀이에서 나타나는 특징인 공동의 놀이 목표 달성을 위한 체계적인 역할 분담이라고 보긴 어려울 것 같습니다.
낭니님의 댓글
skdmsdpdms
깔끔한 설명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