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놀이] 밀집도 | ||
---|---|---|---|
작성자 | sala1235 | 작성일 | 2020-03-13 02:31:08 |
조회수 | 1,316회 | 댓글수 | 2 |
(1) 353p에 공간 밀집도가 일정한 수의 사람에게 부과된 공간량이라고 적혀있는데, 그럼 공간 밀집도가 낮다는건 그 정해진 사람들에게 공간이 많이 주어졌다는걸 뜻하나요? 예를 들어 30명이라는 유아 수가 정해져 있을 때 넓은 공간이 주어지면 공간 밀집도가 낮은 환경이라고 볼 수 있고, 좁은 공간이 주어지면 공간 밀집도가 높은 환경이라고 볼 수 있나요 ㅠㅠ 오개념을 갖고 있는 것 같네요..
(2) 사회적 밀집도는 일정한 공간에 있는 사람 수라고 적혀 있는데 그럼 사회적 밀집도가 높은 환경은 그 일정한 공간에 있는 사람의 수가 많은거고, 사회적 밀집도가 낮은 환경은 그 공간에 있는 사람의 수가 적은건가요?
+ 공간, 사회적 밀집도가 높은 환경의 예시와 공간 , 사회적 밀집도가 낮은 환경의 예시를 정확하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ㅜㅜ
(2) 사회적 밀집도는 일정한 공간에 있는 사람 수라고 적혀 있는데 그럼 사회적 밀집도가 높은 환경은 그 일정한 공간에 있는 사람의 수가 많은거고, 사회적 밀집도가 낮은 환경은 그 공간에 있는 사람의 수가 적은건가요?
+ 공간, 사회적 밀집도가 높은 환경의 예시와 공간 , 사회적 밀집도가 낮은 환경의 예시를 정확하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ㅜㅜ
댓글목록
miji0198님의 댓글
miji0198 작성일
안녕하세요:)
우선 밀집도에는 '공간 밀집도'와 '사회적 밀집도'가 있어요. 공간밀집도는 일정한 사람 수에 공간의 크기가 달라지는 것이고, 사회적밀집도는 일정한 공간에 사람의 수가 달라지는 것 입니다. 여기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드리자면
->공간 밀집도가 '높은' 경우, 사회적 밀집도가 높은 경우에는 유아들의 신체적 접촉이 많아지게 되어 유아들간 서로의 활동을 방해할 수 있고, 공격성을 증가시킵니다. 또한 공격성이 높아지면서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행동도 감소하게 됩니다.
-> 공간 밀집도와 사회적 밀집도가 '낮은' 경우는, 유아에게 활동이나 놀이를 할 수 있는 공간이 많아 진 것이기 때문에 활동적인 놀이가 증가하는 반면 다른 유아들과의 신체적 접촉 빈도가 낮아짐에따라 공격성이 낮아지고, 혼자놀이(단독놀이)가 증가하게 됩니다.
킁미니님의 댓글
sala1235
감사합니다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