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발달심리 | ||
---|---|---|---|
작성자 | psr0102 | 작성일 | 2020-02-23 19:35:16 |
조회수 | 1,351회 | 댓글수 | 1 |
- 개론 책 267쪽에 보면 비보존성과 비가역성이 따로 분류되어있는데 보존개념 안에 가역성이 포함되있는 것 아닌가요?
- 초 의사소통이론에서 설명하는 상위의사소통과 스밀란스키 언어적의사소통 중 상위의사소통과 같은 것인가요?
- 피아제는 또래의 역할이 사회적 대행자로서 특히 중요하다고 했는데, 개론 p.335의 동료 역할 부분에는 필요하지 않다고 나와있는지?
댓글목록
soo1004sin님의 댓글
soo1004sin 작성일
선생님~
- 보존 과제에서의 지적 조작 유형에 가역성이 포함되어 있으나 전조작기 사고 특성 중의 하나로 비가역성을 따로 설명해둔 것 같습니다!
- 유사한 개념으로 보일 수 있으나 초 의사소통이론에서 설명하는 상위의사소통과 스밀란스키 언어적의사소통 중 상위의사통은 서로 같은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 피아제의 경우 지식은 스스로 깨닫는 것으로 학습자의 능동성 및 개별성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필요하지 않지만'이라고 나와 있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