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7강 궁금한 부분 질문 합니다. | ||
---|---|---|---|
작성자 | ejkeem | 작성일 | 2020-02-17 23:34:40 |
조회수 | 1,337회 | 댓글수 | 6 |
뒤늦게 수강신청을 해서 수강한지 얼마 안되었네요. 초수라서 아는게 많이 없습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인강을 듣고, 인강 내용을 되짚어보고 복습을 하는데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1. 개론 책 124쪽 기출문제 중 홍교사, 최교사의 공통적인 사상의 교육원리를 설명하라고 되어있는데
답은 '자연의 순서에 따른 원리(합자연의 원리)' 라고 나와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여기서 궁금한건, 김교사의 경우 '감각에 의하지 않고 지성을 따르는 것은 하나도 없다'
이 부분의 경우 감각적 실학주의 인데, 윗 줄에 '단계적으로 발달' 부분이 합자연의 원리가 된다는 건가요?
2. 합자연의 원리, 합자연의 교육 같은 말인가요?
코메니우스, 루소 다 합자연의 원리를 기초로 "객관적 자연주의', "주관적 자연주의"가 나온건가요?
다른 선생님들의 글에 보니 페스탈로치, 루소, 코메니우스가 합자연의 원리를 이야기했다고 하는데
그러면 '객관적 자연주의', '주관적 자연주의', '사회적 자연주의' 이것들의 합자연의 원리와 같은 단어일까요.
아니면 위에 언급한대로 합자연의 원리에서 파생되어 나온 말들인가요.....
강의를 듣고 책을 보아도 말들이 비슷해서 헷갈립니다. 설명 부탁드립니다.
3. 그리고 강의 중에 낭만주의와 합자연의 교육이 같은 거라고 설명해주신 것 같은데, 같은 거로 알고 있으면
될까요?
바쁘시겠지만, 답변 부탁드립니다~
댓글목록
조교쌤님의 댓글
올해는꼭 작성일
1. 네! 그렇습니다^^
2. 네! 그렇습니다:)
3. 다른 용어입니다! 낭만주의는 사조에 가까운 용어이고
합자연의 교육(원리)는 교육원리입니다!
드리맘님의 댓글
ejkeem
답변 감사합니다.
근데 2번의 경우는 합자연의 원리에서 객관적, 주관적, 사회적 자연주의가 파생되어져 나왔다는건가요?
아님 다 같은 말이라는 걸까요?? 루소의 경우에 예를 들어 강의에서 주관적 자연주의라고 말씀하시는데,
책에서는 루소의 파트에는 경우 합자연의 교육이라고 기재되어있고 주관적 자연주의라는 말이 없습니다.
ㅜㅜ
조교쌤님의 댓글
올해는꼭
1주차 수업자료 '[유아교육의 사상적 기초] 참고자료'
2페이지 - 5. 자연주의를 보시면 나와있습니다^^
드리맘님의 댓글
ejkeem
자료는 보았는데, 이부분이 명확하게 이해가 되지 않네요. 다시 한 번 천천히 보겠습니다.
그러면, 위에 1번 질문에 기출문제의 답이 [자연에 순서에 따른 원리 또는 합자연의 원리]라고
되더있다고 했는데 '객관적 자연주의'가 답이 될 수 있나요??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교육 원리는 물어보았으므로 객관적 자연주의 는 답이 될 수 없습니다. 기출문제에 제시된 내용은 코메니우스의 합자연의 교육 원리를 교육학 책들에서 설명할 때 일반적으로 제시되는 사례입니다.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합자연의 원리라는 것은 교육에 있어 '자연(성)'을 중시하는 교육 방법을 적용한다는 의미입니다.
한편 객관적, 주관적, 사회적 자연주의라는 구분은 후대의 학자들이 이들이 교육 사상을 '자연주의'라고 이름 붙이면서 각 학자의 교육 사상에 자연성이라는 의미가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를 설명하는 용어입니다.
다라서 각 학자의 교육 사상을 설명할 때 객관적, 주관적, 사회적이라는 구분을 하기 보다는 그 학자의 교육 사상의 강조점을 제시할 수 밖에 없고 세명의 학자가 강조하고 있는 '자연'이라는 용어를 비교 설명할 때 이 부분을 다루게 됩니다. 또한 교육 원리를 물을 때는 '~원리' 로 답해야 하고 교육 사조를 물으면 '~주의'라고 답해야 합니다. 처음이라 용어가 익숙하지 않아 비숫한 단어가 있으면 대부분 동일한 용어로 받아 들이게 되지만 공부를 계속 반복하고 문제도 풀고 그러다 보면 아주 사소한 접두사나 접미사 또는 한 글자의 차이는 서로 다른 맥락이라는 것을 알게 될 것 입니다. 처음에는 모호한 상태에서 차츰 비숫해보이는 것들 간의 차이를 명확하게 깨닫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