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강의의 박쌤 설명과 밴드에서의 박쌤 설명이 혼란스러워요...! | ||
---|---|---|---|
작성자 | e2shin | 작성일 | 2020-02-18 09:25:30 |
조회수 | 1,386회 | 댓글수 | 7 |
첨부파일 | ![]() ![]() |
안녕하세요!
제목대로 강의에서 박쌤 설명과 밴드에서의 박쌤 설명이 조금 다른 것 같아서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일단 문제는 [2020 기출 b형 1번의 1번 소문항입니다.
강의와 기출 책에서는 복합적 사회극 놀이의 대표적 특성 2가지를 1) 상위 의사소통 2) 역할 분담 으로
내셨고 이를 이해하고 넘어갔습니다.
그런데 밴드에서는
교수님께서 1) 상위 의사소통 2) 사회극 놀이라고 하셔서 조금 혼란스러워 질문합니다ㅜㅜ
어떤 것이 적합한 답안이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댓글목록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안녕하세요. 박성희입니다.
1. 출제자가 요구하는 복합적사회극놀이의 특징 2가지는 하우웨의 원본 참고자료 복합적사회극놀이에 대한 설명 첫문장에 있는 친구와 함께 사회극놀이에 참여하는 것과 상위의사소통입니다.
2. 실제적으로 협동적 사회극놀이와 복합적 사회극놀이의 차이는 상위의사소통을 통해서 역할을 정하고 분담하는가 그렇지 않은가입니다.
사회극놀이는 협동적 사회극놀이의 특징이기도 하므로 복합적 사회극놀이의 특징만을 생각해서 역할분담과 상위의사소통이라고 답을 냈으나 출제자의 요구는 1이었음을 다시 설명드립니다.
기출을 토대로 복합적사회극놀이의 특징 2가지를 물으면 '사회극놀이와 상위의사소통'
협동적 사회극놀이와 복합적 사회극놀이의 차이점을 묻거나 복합적 사회극놀이만의 특징을 물으면 '상위의사소통을 통한 역할분담'을 답으로 작성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따라서
2021경기합격님의 댓글
thinkyou79
조교쌤님의 댓글
올해는꼭
thinkyou79 선생님^v^
도란도란 게시판은 선생님들 간의 궁금한 점과 어려운 점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곳입니다:)
비밀댓글보다는 일반댓글로 다는 것이 어떨까요?ㅠㅠ
2021경기합격님의 댓글
thinkyou79
비밀글을 해제하는 부분이 안되서 다시 올립니다^^
교수님 그러면 만약에 2020 기출에서 지수가 가장의사소통을 통해 역할분담하는 지문만 봤을때는 복합적사회극놀이로 볼 수 없는 건가요...?
2020기출은 출제자의 의도를 고려하였을때 사회극놀이를 하는것과 상위의사소통을 하는 지수의 모습에만 포인트를두어서 그렇게 기출답안을 내리게 되는거죠?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복합적 사회극놀이에 대한 이론에 기초하자면 상위의사소통을 통해서 역할을 정하고 분담하는 등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져야하는데 기출에서는 가작화 의사소통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이 문제를 통해 우리가 알아야할 것은 이론에 기초해서 이 지문이 복합적 사회극놀이로 볼 수 있는가 없는가를 따지는 것이 아니라
이 문제의 출제자는 복합적 사회극놀이의 사례로 이 지문을 만들었고 출제자의 견해에 따라 복합적 사회극놀이의 역할정하기와 역할분담이 가작화 의사소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이해가 될만큼 설명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현정님의 댓글
e2shin
넵 이해가 되었습니다:)
그럼 교수님, 교재에 있는 답안을 '사회극 놀이, 상위 의사소통'으로 변경해서 알고 있으면 될까요?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네~ 선생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