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사상과 발달질문있어요~! | ||
---|---|---|---|
작성자 | zmsquf11 | 작성일 | 2020-02-19 08:48:34 |
조회수 | 1,417회 | 댓글수 | 1 |
작년에도 임쌤 수강생입니다. 계속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 지문을 잘라서 붙였는데... 답이 없더라구요 ㅠㅠ
지금까지도 모르겠네여.. 알려주세요 ㅠㅠ
[1] " 신은 만물 중에 존재함과 동시에 만물은 신 가운데 존재하고 있다는 ( )를 주장한다 "
-신성도 아니고 통일성도 아닌거같던데... 무엇인가요ㅠ
[2] 피아제 형식적 조작기에서
가설연역적 사고가 일반사실에서 - 특수한 결론을 /
귀납적 사고가 구체적 현실에서 - 일반적 결론을 내는 거라고 되어있는데 이해가 되지 않아요ㅠㅠ
예시가 없을까여?
[3] 발달단계를 질적으로 변화되어 간다고 보는 것이 불연속성이고 관련 학자를 찾으라면 피아제라고
생각하는데 맞나요?
반대로 발달이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진적이고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하는건 연속성 같은데
학자로 본다면 누구 인가요?? 행동주의 학자로 보면되는걸까요?
[4] 개론 P225. 로고프의 유도된 참여가 나오고,P288에도 로고프라는 학자가 나오는데 비고츠키랑 관련된것
같은데 유도된 참여가 어떤것인가요? 비계설정인가요?
댓글목록
조교쌤님의 댓글
올해는꼭 작성일
1. 같은 내용을 질문을 하신 선생님이 있어서 주소 남길게요:)
교수님께서 답변하셨습니다^^
질문하실 때 빠른 해결을 원하시고 싶다면 도란도란에서 검색하시면 궁금증을 빠르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http://www.immisun.com/bbs/board.php?bo_table=community&wr_id=6277&sst=wr_hit&sod=desc&sop=and&page=72
2. 연역적 사고의 예는
사람은 죽는다. →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귀납적 사고의 예는
개미는 곤충인데 다리가 여섯이다. 벌은 곤충인데 다리가 여섯이다. 잠자리는 곤충인데 다리가 여섯이다. 메뚜기는 곤충인데 다리가 여섯이다. 그러므로 곤충은 다리가 여섯 개이다.
형식적 조작기는 유아 수준의 이상이기 때문에 참고만 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3. 네^^ 맞습니다:)
4. 유도된 참여란 비계역할보다 광범위한 개념입니다. 필수적인 도움과 격려를 제공해주는 보다 능숙한 협력자와 함꼐 각 문화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