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놀이이론]놀이관찰 및 평가의 순서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 ||
---|---|---|---|
작성자 | tjsgh718 | 작성일 | 2020-02-19 18:13:45 |
조회수 | 1,059회 | 댓글수 | 3 |
유아교육개론에서
'놀이관찰 및 평가의 순서'(404p)
관찰→기록→평가→보고·협의→계획(순환주기)
'교사 개입이 이루어 지기까지의 순서'(425p)
※책에 나와 있는 내용이 아닌 강의 중 말씀해주신 내용입니다!
관찰→기록→의미발견→동료교사와 공유·협의→지원(개입)
Q1. 두 개의 순서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Q2. 2019 개정 누리과정은 '관찰→기록→의미발견→동료교사와 공유·협의→지원(개입)' 로 이루어진다고 말씀 해주셨는데, 이 순서로 알아두면 될까요? 아니면
두 개의 순서를 각각 '평가'와 '개입'의 측면으로 따로 알아두어야 할까요?('평가'와 '개입'의 두 측면으로 나누기에도 적절치 않다고 생각하여 질문드립니다!)
댓글목록
ㅎㅂㅎ님의 댓글
mys831 작성일
1. 두개의 과정중 전자는 관찰을 바탕으로 교사가 활동을 계획할 때 사용하는 과정, 후자는 관찰을 바탕으로 개입할 때의 과정을 의미합니다. 차이라고 보면 전자는 놀이를 관찰하고, 다음활동을 계획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후자는 놀이를 관찰하고 지원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로 나눌 수 있습니다.
즉, 관찰후 개입이냐, 활동을 계획하느냐 그차이지 나머지는 유사한 맥락으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2. 제가 출제자가 아니라서 섣불리 말씀드리기가 어렵네요.ㅠㅠ 그래도 경중을 따진다면 개정 누리과정에 나와있는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이 들어요. 개인적으로는ㄴ..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평가를 통해 의미를 발견하고 동료교사와 협의하고 지원을 계획하는 것이므로 두개의 순서는 용어만 다를 뿐 교사가 해야하는 일은 동일합니다. 2019누리과정의 순서로 알아두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tjsgh718님의 댓글
tjsgh718 작성일모든 답변 감사드립니다~이해가 되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