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굿모닝 퀴즈 & 체계적 둔감법에 대하여 | ||
---|---|---|---|
작성자 | happyjjin29 | 작성일 | 2020-02-12 23:26:07 |
조회수 | 1,281회 | 댓글수 | 1 |
1. 오늘 (12일 수요일) 굿모닝 퀴즈 2번 문항 1번 문제에 대한 질문입니다.
타인의 정서 상태나 사회적 입장에 대한 이해와 그에 알맞은 반응을 할 수 있는 능력은 조망수용능력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전조작기 유아의 사고는 자기중심성을 나타내어 조망수용능력이 부족한 것 아닌가요? ㅜㅜ
즉 전조작기땐 조망수용능력이 부족하여 자기중심성과 자기중심적언어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문제에는 전조작기 유아의 사고 특성이라고 나와 있어서요
조망수용능력 부족도 ,,, 전조작기 유아의 사고 특성인가요?
2. 기출문제 강의시간에 교수님께서 행동 수정이론의 출제 경향에 대해 말씀하실때
"체계적 둔감법은 수정 기법은 아니지만 어쨋든 행동지도 방법으로서 연결해서 보시면 되겠어요"
라고 하셨거든용,,, 저는 체계적 둔감법은 행동수정기법 중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감소하는 행동중 하나라고
생각했는데,, 저 말씀이 어떤 뜻일까용?ㅠㅠ
댓글목록
miji0198님의 댓글
miji0198 작성일
조망수용능력이 전조작기 유아의 사고 특성은 아니지만 제 생각에는 '조망수용능력'개념이 피아제가 말한 중요한 개념이라서 포함되어 있는 것 같습니당:) 전조작기 유아는 자기중심성으로 인하여 조망수용능력이 결여된 특성은 맞는 것 같아요 선생님~
'체계적 둔감법'의 경우는 불안을 일으키는 사물이나 대상에 대해 불안을 느끼지 않도록 불안감을 둔화시키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유아가 불안을 느끼는 행동을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이라고 정의내리기에는 어려운 것 같습니다ㅠ! 문제 행동 보다는 정서로 인해 발생하는 행동의 지도 방법으로 생각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