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사상> 로크와 루소에 대해 궁금해요! | ||
---|---|---|---|
작성자 | oar971020 | 작성일 | 2020-02-03 14:40:54 |
조회수 | 1,278회 | 댓글수 | 2 |
로크에 대해 공부하다가 궁금증이 생겨 남깁니다.
책에서는 신뢰심과 존경심으로 교육을 해야한다고 되어있고
개요도에는 존경심과 수치심에 의한 교육을 해야한다고 되어있는데요
신뢰심과 존경심의 교육이라고 하면 신사가 되기 위해 나도 도덕성을 길러야 겠다는 이야기 인가요?
또한 수치심은 어떤 의미로 이해를 해야 하나요? 똑같이 신사에 어울리지 못한 행동을 하고 수치심을 느끼고 신사처럼 해야겠다 라고 느끼도록 교육을 하는 건가요?
두 번째로는 루소의 자연적 본성에 대해 설명해 주실 때 보편적인 자연적 본성은 인간의 권리이고 또 다른 의미로는 인간의 내면적 발달이라는게 루소는 인간의 내면작 발달의 뜻의 자연적 본성만을 말하는 건가요 아니면 인간의 권리 뜻과 내면적 발달의 뜻 모두를 포함하는 자연적 본성을 말하나요?
책에서는 신뢰심과 존경심으로 교육을 해야한다고 되어있고
개요도에는 존경심과 수치심에 의한 교육을 해야한다고 되어있는데요
신뢰심과 존경심의 교육이라고 하면 신사가 되기 위해 나도 도덕성을 길러야 겠다는 이야기 인가요?
또한 수치심은 어떤 의미로 이해를 해야 하나요? 똑같이 신사에 어울리지 못한 행동을 하고 수치심을 느끼고 신사처럼 해야겠다 라고 느끼도록 교육을 하는 건가요?
두 번째로는 루소의 자연적 본성에 대해 설명해 주실 때 보편적인 자연적 본성은 인간의 권리이고 또 다른 의미로는 인간의 내면적 발달이라는게 루소는 인간의 내면작 발달의 뜻의 자연적 본성만을 말하는 건가요 아니면 인간의 권리 뜻과 내면적 발달의 뜻 모두를 포함하는 자연적 본성을 말하나요?
댓글목록
soo1004sin님의 댓글
soo1004sin 작성일
선생님~
1. 로크 부분의 경우, 조기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부모에 대한 존경심과 신뢰감을 바탕으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고 있어요~
수치심의 경우 예법을 기르기 위해 체벌을 삼가하야 함으로 체벌 대신 수치심을 통해 교육을 해야 한다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아요!
soo1004sin님의 댓글
soo1004sin 작성일2. 루소에 관련된 질문의 경우 교수님께서 p.129 참고 부분에 자연인에 대해 설명하시면서 내적인 자연적 본성을 (1)인간의 권리: 자유, 평등, 인간의 개성 (2)인간의 내면적 발달: 일정한 순서, 내적인 발달, 내면적인 성숙으로 설명해주셨어요~ 그래서 인간의 권리와 인간의 내면적 발달 모두를 뜻하는 것 같아요! (제가 필기한 것을 참고하여 답변을 달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