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발달심리 질문 | ||
---|---|---|---|
작성자 | psr0102 | 작성일 | 2020-01-31 12:22:48 |
조회수 | 1,426회 | 댓글수 | 1 |
1. 프로이드가 말하는 인성, 도덕성, 사회성은 모두 같은 말이라고 봐도 되나요?
2. p.249쪽 길라잡이의 유관설정이라는 말의 뜻을 모르겠습니다ㅠㅠ
3. 워크북 p.43 15번의 1번문제에 '영진이가 유치원의 공동 물건을 친구들과 사이좋게 나누어 쓰면 칭찬해준다.'라는 문장만 보고는 상반행동강화라고 알 수 없지 않나요? 행동 형성은 안되나요?
또 박탈과 권리박탈은 같은 말이라도 봐도 될까요?
4. 워크북 p.43에 16번 답이 '특권이 행동의 목적 그 자체가 될 문제점이 있다.' 라고 적었는데 답이 되나요?
답안에는 '학습에 대한 자발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라고 나와있는데 토큰이 목적 그 자체가 되는 것이지 토큰을 얻기 위해 자발적으로 행동하는 것은 맞다고 생각하여 자발성 감소라는 것을 생각하지 못했는데 어떻게 생각해야될까요?
5. 워크북 p.47 25번에 내성적 추상은 어떤 의미인가요? 그리고 기호적 기능과 상징적 기능은 같은 말이라고 봐도 되나요?
질문이 많네요ㅠㅠ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조교쌤님의 댓글
올해는꼭 작성일
1. 다른 말입니다^^
2. 관계를 설정하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3. 문제에 오류가 있어서 수정하겠습니다.
영진이의 앞에 ‘문제행동을 하는’ 을 추가해서 수정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 사례를 기반하여 자발성은 유아가 아무런 대가없이 다른 유아들을 도우는 행동입니다. 토큰을 얻기 위해서 도우는 행동은 목적이 있는 행동이기 때문에 자발적 행동으로 보기 어렵습니다ㅠㅠ
5. 마음속의 추성적 사고로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유사한 단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