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사상 질문] | ||
---|---|---|---|
작성자 | rlaalswjd77 | 작성일 | 2020-01-22 13:16:43 |
조회수 | 1,264회 | 댓글수 | 1 |
1. p.138에 있는 페스탈로치의 교육원리와 참고자료의 교육 원리는 왜 내용이 다른지 궁금합니다. 참고자료에 있는 교육원리는 페스탈로치의 제자인 나트로프가 페스탈로치의 이론은 '합자연의 원리'라고 하면서 직접 경험한 내용을 바탕으로 7가지의이론을 제시했다는 점은 분명히 이해하였는데 그러면 책에 나와있는 여섯개는 어떤 의미인것인지 궁금합니다.
2. p.147쪽에 '소유본능의 정화'라는 것이 어떤 뜻인지 궁금합니다.
3. p.176에서 슈타이너가 인간관에서는 육체, 영혼, 정신의 삼원적 구조라고 하였는데 왜 인간관 항목의 2번에서 '인간은 신체, 생명체, 영혼 그리고 정신으로 이루어진 존재이며~'라고 해서 네가지를 제시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4. p.163에서 상상놀이를 하는데 왜 구체적인 교재가 필요하다고 한것인지 궁금합니다. 상상놀이를 하려면 오히려 구체적이지 않은 놀잇감과 교재를 통해 다양한 의미부여가 가능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제가 어떤 것을 놓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5. p. 157에서 몬테소리의 자기교육이라는 것은 어떤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자동교육과 같은 의미일까요?
6. 사상 개요도에서 플라톤이 차별없는 관찰을 하였다는데 차별이 없다는 것이 신분간의 차별인 것인지 아니면 남녀간의 차별인것인지 정확히 알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조교쌤님의 댓글
올해는꼭 작성일
1. 책에 있는 교육원리는 여러 사상사 각론서에서 제시된 내용을 정리해서 제시한 것입니다^^
2. 147페이지 '2. 아동관 - (1) 정상화 - ①의 세번째 줄의 소유 본능은 정화'를 물으시는건가요?
147페이지에서는 '소유 본능의 정화' 라고 나온 부분이 없는 것 같습니다ㅠㅠ
소유 본능이란 유아가 가지려고 하는 본능을 뜻하며 이러한 본능을 정신적으로 안정시키는 것을 뜻합니다:)
3. 육체=신체&생명체로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4. 맥락을 보시면 경험과 관련된 구체적인 교재 교구를 제시하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5. 아닙니다~ 자기 활동입니다^^
6. 둘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