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굿모닝 퀴즈] 1월 13일 2번문항 | ||
---|---|---|---|
작성자 | skdmsdpdms | 작성일 | 2020-01-14 17:52:05 |
조회수 | 1,489회 | 댓글수 | 2 |
첨부파일 | ![]() |
2번 문항 3
내용
인간의 이성을 신뢰하고 이성의 계발을 통해 인류의 무한한 진보를 확신하는 사상으로 이를 대표하는 개념은 '자연, 이성, 진보'이다. 여기서 자연은 절대적인 수학적 법칙에 따라 작용하는 하나의 거대한 기계이며 인간의 합리적인 이성을 통해 자연의 법칙을 발견하여 인간 사회는 진보를 이루고 행복을 누릴 수 있다고 믿었다. 하지만 민중 즉 하층민들은 이성이나 교육 받을 능력이 전혀 없는 어리석고 야만적인 소와 같은 존재라고 불신하며 독단적인 지적 귀족주의를 형성하였다.
답: 계몽사상
이해가 안되는 부분은 마지막 문장인데요.
'민중 즉 하층민들은 이성이나 교육 받을 능력이 없는 어리석고 야만적인 소와 같은 존재라고 불신하며 독단적인 지적 귀족주의를 형성하였다.'
계몽주의가 교회의 절대주의와 절대왕권주의 시대를 비판하여 사회의 계급제도와 정치에 반항해 등장했다고 이해했습니다. 또한 인간 평등과 모든 사람의 독립적인 권리를 강조해 민주주의의 토대가 된 교육사조인데 지적 귀족주의와 그 맥락을 같이 할 수 있는지 의문입니다. 계몽주의에서의 교육은 일반인들의 미자각된 정신을 일깨우기 위한 계몽 수단임을 고려했을 때 마지막 문장은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 건가요?
댓글목록
지예님의 댓글
jiye110869 작성일
계몽주의가 초반에는 교회와 왕권의 사회적 구속을 타파하고자 등장한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이전의 사상들이 형식주의로 전락했듯이 계몽사상 또한 형식주의로 바뀐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합리주의와 주지주의 경향이 너무 강해지며 지식인을 중시하게 되었는데, 당시에는 귀족 계급이 교육의 기회가 많고 민중은 노동을 주로 하는 존재로 인식되어 '민중 즉 하층민들은 이성이나 교육 받을 능력이 없는 어리석고 야만적인 소와 같은 존재라고 불신하며 독단적인 지적 귀족주의를 형성하였다.'라는 문장이 계몽주의를 설명하는 문장으로 등장한 것 같습니다!
부족하지만 선생님의 궁금증에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낭니님의 댓글
skdmsdpdms
상세하고 친절한 설명 정말 감사합니다.
퀴즈 내용에 대해 의문이 들어서 riss 자료들을 검색해보니 계몽주의 사상은 프랑스 시민혁명의 도화선이었으며 프랑스 혁명(1789~1794)은 계몽주의 사상이 소수 지성인들의 사상 교류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대중들에게 널리 전파된 것을 증명한 사건이었다고 설명하고 있네요. 계몽주의의 이념을 바탕으로 전 국민이 자유로운 개인으로서 평등한 권리를 외치게 되었다는 부분을 보니 계몽주의가 형식주의, 지적 귀족주의로 전락을 했다는 부분에 대해 이해가 어렵네요ㅠㅜㅠ 유아교육개론에서 계몽주의에 대해 설명한 부분에서도 계몽주의가 모든 계층이 동등하게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보편적 평등주의 교육론에 영향을 미쳤다고 나와있구요. 또한 지나치게 이성과 지성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계몽주의 사상가 루소는 주지주의를 주정주의로 전환하여 아동을 발견하고 후에 다른 사상가들(프뢰벨, 페스탈로치)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는 내용도 강의에 나와 있어서 아직 의문이 남아있는 것 같습니다...!
계몽주의 초기에는 ‘이성의 지배’라는 소수의 지적 귀족주의를 형성하기도 했으나, 후기에는 국민 대중의 향상과 계몽을 중심으로 이뤄졌다는 자료도 있었습니다!
시간 내서 댓글 달아주신 점 다시 한 번 감사드리며 설명해주신 내용과 관련해 댓글 또 남겨주시면 바로 확인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