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유아교육의 사상적 기초]-코메니우스와 루소 | ||
---|---|---|---|
작성자 | psr0102 | 작성일 | 2020-01-10 20:02:53 |
조회수 | 1,448회 | 댓글수 | 1 |
코메니우스와 루소는 객관적 자연주의와 주관적 자연주의로 자연을 어떻게 바라보았는가에 대한 차이가 있지만,
결국 합자연의 원리, 자연적 순서에 따르는 교육의 내용은 같다고 볼 수 있는건가요?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교육 내용은 다릅니다. 두 학자 모두 자연성이라는 용어를 강조하지만 코메니우스가 말하는 자연성은 우리를 둘러 싼 자연의 변화와 법칙을 발견하여 이런 법칙을 인간의 성장 과정에 적절하게 해석하여 교육하는 것이고
루소가 말하는 자연성은 인간의 내면에 잠재된 각각의 고유성과 성장 단계를 의미합니다.
인간은 사회 제도에 노출되기 전에는 평등하게 각자의 개성과 고유성을 가지고 태어납니다. 또한 인간의 성장에는 일정한 발달 단계가 있어서 각 단계는 고유의 필연적인 법칙을 따라 진행됩니다.
따라서 성인이나 사회가 아이들에게 정해진 사회의 제도나 규율에 따르도록 억업하거나 강요하지 않고 정해진 발달의 법칙에 따라 자연적으로 성장하도록 한다면 누구나 자신의 개성을 가지고 도덕적 선을 지키는 훌륭한 개인이자 시민이 될 수 있다는 것 입니다. 루소는 이런 상태를 자연인아라고 한 것이고 자연인이 바로 루소 사상에서 교육의 목적이 됩니다. 비숫한 용어를 사용하지만 그 의미는 시대적 배경이나 추구하는사상에 따라 다른 의미로 쓰입니다. 그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전공 공부의 핵심이랍니다. 예를 들어 학습이란 용어도 보편적으로 사용하지만 행동주의, 구성주의 모두 다른 의미로 사용하고 있고 서로 관점이 다르기 때문에 강조하는 학습 내용이나 학습 방법이 다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