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사회관계]다문화주의 정책관점 (진주 문제) | ||
---|---|---|---|
작성자 | sujeong228 | 작성일 | 2019-08-22 19:05:24 |
조회수 | 1,262회 | 댓글수 | 1 |
다문화주의 정책관점중
차별적 배제모형은 이주민의 영주 가능성을 막는 것처럼 아예 다른 민족을 배척하는 것이고,
동화주의 모형은 소수 민족의 문화를 인정하지 않고 주류 문화로 흡수시키는 것이라고 이해했는데요
2008년 기출 문제에서 교사가 베트남말을 쓰는 진주에게 ‘진주야, 유치원에서는 베트남 말은 하지 말고 한국말만 쓰자.’ 라고 말한것은 둘 중 어떤 관점에 해당하나요?
저는 진주의 모국어인 베트남어를 억압하고 한국어를 쓰도록 하고있기 때문에 동화주의 관점이라고 생각했는데 강의에서 차별적 배제모형이라고 하셔서 헷갈립니다 ㅜㅜ
차별적 배제모형은 이주민의 영주 가능성을 막는 것처럼 아예 다른 민족을 배척하는 것이고,
동화주의 모형은 소수 민족의 문화를 인정하지 않고 주류 문화로 흡수시키는 것이라고 이해했는데요
2008년 기출 문제에서 교사가 베트남말을 쓰는 진주에게 ‘진주야, 유치원에서는 베트남 말은 하지 말고 한국말만 쓰자.’ 라고 말한것은 둘 중 어떤 관점에 해당하나요?
저는 진주의 모국어인 베트남어를 억압하고 한국어를 쓰도록 하고있기 때문에 동화주의 관점이라고 생각했는데 강의에서 차별적 배제모형이라고 하셔서 헷갈립니다 ㅜㅜ
댓글목록
지으니니님의 댓글
cjeangel2 작성일동화주의 관점에서는 인정하지 않다고 표현하지만, 억압하는 관점은 아닌 것으로 알고 있어요. 영어로는 멜팅팟이라고 하는데, 상대방이나 상대방의 문화 등을 자문화로 흡수하는 것이죠. 하지만, 차별적 배제 모형은 상대의 문화를 억압하고 배제하는 관점으로 진주에게 베트남 언어를 사용하지 못하고록 한 점에서 차별적 배제모형인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