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발달] 반두라의 사회적 학습 이론 | ||
---|---|---|---|
작성자 | hyeon5103 | 작성일 | 2023-04-18 12:24:05 |
조회수 | 340회 | 댓글수 | 2 |
첨부파일 | ![]() |
관찰 학습의 구성 요소 중 동기화 쓰는 부분이 헷갈려서 질문 남깁니다!
‘동기화’가 강화물,칭찬 등의 강화까지만 이루어지는 것인가요 아니면 강화 + 그 행동까지 계속 하는 것까지 포함인가요?
다음 사진에 있는 사례에서 동기화 부분을 찾아 쓸 때, 처음에 강화받는거까지만 동기화라고 생각을 해서 “소년들이 사냥하고 눈 집 짓는 일을 하면 어른들은 격려하고 칭찬한다.”라고만 답을 작성했습니다!!
‘동기화’가 강화물,칭찬 등의 강화까지만 이루어지는 것인가요 아니면 강화 + 그 행동까지 계속 하는 것까지 포함인가요?
다음 사진에 있는 사례에서 동기화 부분을 찾아 쓸 때, 처음에 강화받는거까지만 동기화라고 생각을 해서 “소년들이 사냥하고 눈 집 짓는 일을 하면 어른들은 격려하고 칭찬한다.”라고만 답을 작성했습니다!!
댓글목록
신지원이님의 댓글
givemejin 작성일개론책 p.266 참고하여 말씀드리자면 그 행동까지 하는 것까지라 생각됩니다. ^^
꾸루꾸루님의 댓글
nawon95 작성일
개론 교재 p.266 에 의하면 관찰학습구성 요소에서 동기화는 강화에 해당해하는데
강화의 뜻으로만 살펴보면
'행동에 대해 보상을 하여 행동 발생 빈도를 높이는 것'이기 때문에
행동 자체도 포함되는 개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답안 작성하신 부분만 봤을 때는 '행동에 대한 보상'에 해당하는 '강화물'까지만의 개념을 쓴 것이고,
그 후에 계속했다는 이야기가 들어가야 '행동 발생 빈도를 높였다'는 의미까지 포함되어 강화가 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