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놀이] 추시문풀4.-2)와 열매만3.-2) 맥쿤 문제 | ||
---|---|---|---|
작성자 | hye7493 | 작성일 | 2019-07-26 21:41:25 |
조회수 | 1,423회 | 댓글수 | 2 |
1. 같은 문제인데 답이 달라요.ㅠㅠ
[나]에서 발견할 수 있는 승규의 상징놀이 발달단계가 무엇인지 맥쿤의 이론에 근거하여 쓰고, 그렇게 판한하는 이유를 사례와 함께 쓰시오. 라는 문제에서
추시문풀에서는 타인가작화,청소기로 청소하는 흉내를 내고 강아지 인형을 목욕시키는 흉내를 내는 것과 같이 다른 사람의 행동을 모방했기 때문이다.
열매반에서는 결합적 가작화, 한 대상에서 일련의 순서대로 결합된 여러 가지 상징행동을 했기 때문이다.
로 제시되어 있어요.
2. 타인 가작화와 결합적 가작화 구분하는 명확한 기준을 모르겠어요.
참고자료의 예시에서 타인 가작화 - 가상 행동을 다른 사람에서 적용하거나 다른 사람의 행동을 모방하여 행동함 (인형을 안고 젖병으로 젖을 먹이는 흉내를 냄)
결합적 가작화 - 하나의 가상행동을 여러 대상에서 적용하거나(엄마에게 컵으로 마실 것을 줌) 한 대상에서 일련의 순서로 결합된 여러 가지 상징 행동을 함
타인 가작화는 하나의 상징행동을 하나의 대상에게만 적용하는 것이고
결합적 가작화는 여러 개의 상징행동을 하나의 대상에게 혹은 하나의 상징행동을 여러 대상에서 적용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되나요?
댓글목록
최지은님의 댓글
cjeangel2 작성일
저는 타인가작화는 가상 행동을 다른 사람에게 적용하는 것으로 가작화가 사람이나 사물, 행동에서 연쇄적인지 아닌지로 구분하고 있어요.
그래서 결합적 가작화는 ‘하나의 가상 행동’을 ‘여러 대상’에게 적용하거나, ‘한 대상’에게 ‘여러 가작 행동’을 적용하는 것으로 이해했구요!
그래서 1번의 질문을 분석해보면
추시문풀에서는 청소기로 청소하는 흉내(청소 하는 가작화), 강아지 인형을 목욕시키는 흉내(목욕시키는 가작화)를 한 것이니,
한 대상에게 여러 가작화가 나타난 것도 아니고, 여러 대상에게 하나의 가작화를 한 것이 아니니 타인 가작화가 된 것 같아요.
그리고
열매반에서는 강아지(대상)에게 샤워기(물뿌리는 흉내), 수건닦기, 드라이기로 털 말리는 흉내 등의 여러 가작행동이 나타났으니, 결합적 가작화라고 답안이 작성된 것 같아요~
2. 타인 가작화와 결합적 가작화는
대상과 가작화라는 공통적 요소가 있지만,
여기서 더 발달해서 여러 대상에게 하나의 가상전환이 나타나거나, 하나의 대상에게 여러 가상전환이 나타나야지 결합적 가작화같아요~
소나무민들레님의 댓글
hye7493
고맙습니다. 선생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