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놀이】교사개입유형_열매20강 | ||
---|---|---|---|
작성자 | minkyung49 | 작성일 | 2019-07-01 11:26:46 |
조회수 | 1,031회 | 댓글수 | 1 |
첨부파일 | ![]() |
인강 수강생 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20강에서 적중문제집 26번 지문 해설 중에 "(민수에게 블록을 가져다주며)" 민수는 이 블록을 가지고 다시 만들도록 하자.를 지시적 진술이라고 하셨는데,
저는 물리적 개입과 혼동이 되어 질문 드립니다.
물리적 개입의 조건 대입 시 "적합한 소품=블록" "어린이의 행동을 교정 = 이 블록을 가지고 다시 만들자"
이때 "신체적" 교정이 필수적으로 들어가야 성립 되는 것일까요?
즉, 물리적 개입: 적합한 소품 & 신체적 지도
그리고 제시된 지문이 지시적 진술로
다시 블록으로 만드는 "역할배정"이 이루어진 걸까요? 놀이가 다시 진행되도록 복구 시킴으로써 놀이내용을 전개하는 걸까요?
다름이 아니라 20강에서 적중문제집 26번 지문 해설 중에 "(민수에게 블록을 가져다주며)" 민수는 이 블록을 가지고 다시 만들도록 하자.를 지시적 진술이라고 하셨는데,
저는 물리적 개입과 혼동이 되어 질문 드립니다.
물리적 개입의 조건 대입 시 "적합한 소품=블록" "어린이의 행동을 교정 = 이 블록을 가지고 다시 만들자"
이때 "신체적" 교정이 필수적으로 들어가야 성립 되는 것일까요?
즉, 물리적 개입: 적합한 소품 & 신체적 지도
그리고 제시된 지문이 지시적 진술로
다시 블록으로 만드는 "역할배정"이 이루어진 걸까요? 놀이가 다시 진행되도록 복구 시킴으로써 놀이내용을 전개하는 걸까요?
댓글목록
오리양님의 댓글
chiro825 작성일
저도 혼동되었던 지문이었는데요,
일단 교사가 (민수에게 블록을 가져다주며)"민수는 이 블록을 가지고 다시 만들도록 하자"는 지시는 유아에게 행동의 결정권이 있으므로 '지시적 진술'에 해당됩니다.
만일 교사가 (민수에게 블록을 가져다주며)"민수야 블록을 위로 탑처럼 쌓아 영희가 만든 탑을 다시 만들어 주자"으로 발문이 바뀐다면, 교사가 소품(블록)을 제시하며 유아에게 자세한 신체적 행동을 교정해주고 유아에게 행동의 결정권이 없이 교사의 지시에 따라야 하는 물리적 개입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정리한 개념은 지시적 진술의 경우 교사가 놀이 전개 지시를 내리지만 행동의 결정권은 유아에게 있어요.
하지만 물리적 개입은 교사가 소품을 제시하고 유아의 신체적 행동을 교정하며 교사의 지시에 유아가 반드시 따라야하는 것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