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의사소통] 추시 대비 문제 | ||
---|---|---|---|
작성자 | suanmoo | 작성일 | 2019-05-08 23:22:49 |
조회수 | 1,642회 | 댓글수 | 2 |
추시 대비 문제지 5-2) 번 문제에서 동그라미 2번에 ‘이와 관련된 2015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의사소통 영역의 목표를 쓰시오.’ 가 저는 동그라미 1번과 관련하여 하위 영역의 목표를 쓰는 것이라고 해석하였습니다. 실제로 기출에서도 ‘이와 관련된~‘ 이라는 서두가 붙더라도 뒤에 ‘의사소통 하위 영역의 목표’ 가 아닌 ‘의사소통 영역의 목표’ 라고 진술되면 하위 영역 목표가 아닌 의사소통 영역의 목표을 적어야 하는 건가요? ㅠㅠ ‘이와 관련된’ 이라는 서두가 문제를 풀 때 혼란을 주네요.
추시 대비 문제지 9-4) 의 동그라미2번 답안을 보면 ‘큰 책 함께 읽기, 편지쓰기 등의 총체적 접근법~’ 이라고 해설이 되어 있습니다
왜 편지쓰기가 총체적 접근법에 들어간다고 보는 건가요? 지문의 자,모음 활용 놀이를 하는 것과는 달리 정확한 글자를 적기보다는 다른 사람에게 의미를 전달한다는 것에 초점을 둔 활동으로 보아 그런건가요? 다시 풀다보니 의문이 드네요.
추시 대비 문제지 9-4) 의 동그라미2번 답안을 보면 ‘큰 책 함께 읽기, 편지쓰기 등의 총체적 접근법~’ 이라고 해설이 되어 있습니다
왜 편지쓰기가 총체적 접근법에 들어간다고 보는 건가요? 지문의 자,모음 활용 놀이를 하는 것과는 달리 정확한 글자를 적기보다는 다른 사람에게 의미를 전달한다는 것에 초점을 둔 활동으로 보아 그런건가요? 다시 풀다보니 의문이 드네요.
댓글목록
최지은님의 댓글
cjeangel2 작성일
1. 문제푸실때 지문의 내용을 먼저 분석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저는 각 지문마다 듣기와 태도, 말하기요소가 포함되어있길때 큰 범주의 목표를 썼는데, 하위범주의 목표는 듣/말/읽/쓰의 세부 범주이다 보니 지문의 내용과 맞지 않더라구요.
2) 선생님의 말씀대로 총체적 접근법은 언어의 전체 의미를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인식하도록 하는 접근법이기 때문에 읽고 쓰는 활동도 자연스럽게 구성되는 걸로 알고 있어요.
그래서 편지쓰기 또한 성인이 생각하는 정확한 철자쓰기가 아닌 아이들이 끄적거린 것으로, 글을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로 해석됩니다ㅎㅎ
suanmoo님의 댓글
suanmoo
천사선생님 감사합니당~~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