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사상) 페스탈로치 원리 | ||
---|---|---|---|
작성자 | eunh9 | 작성일 | 2019-04-29 10:42:56 |
조회수 | 1,702회 | 댓글수 | 1 |
첨부파일 | ![]() |
2009년 기출문제입니다
삼육론에서 수형어를 교육 내용으로 제시하고 이것이 기초도야의 원리로 이어진다고 배웠는데요
기출에 보면 ‘사물을 인식하는 수단으로’ 수형어를 제시하였다고 하는것 보면 직관의 원리와 이어지는 것 같은데 이 두개의 원리를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요?
교육의 기초를 가르치기 위해서 쉬운 것부터 어려운 것으로 교육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교육 내용으로 ‘수형어’를 제시하였고 교수 방법은 직관으로 가르쳐야한다. 즉 교육내용은 기초도야의 원리, 교수방법은 직관의 원리와 이어지는 건가요?
문제가 나오면 맥락에 따라 연결해야할까요?
삼육론에서 수형어를 교육 내용으로 제시하고 이것이 기초도야의 원리로 이어진다고 배웠는데요
기출에 보면 ‘사물을 인식하는 수단으로’ 수형어를 제시하였다고 하는것 보면 직관의 원리와 이어지는 것 같은데 이 두개의 원리를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요?
교육의 기초를 가르치기 위해서 쉬운 것부터 어려운 것으로 교육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교육 내용으로 ‘수형어’를 제시하였고 교수 방법은 직관으로 가르쳐야한다. 즉 교육내용은 기초도야의 원리, 교수방법은 직관의 원리와 이어지는 건가요?
문제가 나오면 맥락에 따라 연결해야할까요?
댓글목록
최지은님의 댓글
cjeangel2 작성일
페스탈로치는 직관을 ‘모든 인식의 기초’로 생각하고 교육의 본질로 여겼다고 해잖아요~
그 직관은 사물에 대한 경험을 통해 발달시킬 수 있는데,
여기서 사물은 수, 형, 어(인식 수단)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기초도야론과 연결되는 것이구요.
저는, 직관을 형성하기 위해 수형어를 제시하는 방향으로 이해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