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의사소통] 단어읽기단계 자모체계 질문 | ||
---|---|---|---|
작성자 | gmldms1190 | 작성일 | 2019-04-04 13:31:53 |
조회수 | 1,826회 | 댓글수 | 2 |
박성희교수님이 알려주신대로 학자 한명과 대조하며 공부하고 있는데 의문점이 생겼어요.
잘롱고의 자모체계에서 자소-음소 대응이 일어나는건가요?
아니면 철자체계에서 일어나는건가요?
수업시간에 철자체계의 예로 들어주신 ‘깡’글자를 보며 까..에 ㅇ받침이니까..깡! 이라고 읽는다는 예시는 자소음소 대응인것 같은데요...
에리의 이론, 프리스의 이론은 이해가 되는데 잘롱고의 이론이 명확하게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잘롱고는 철자체계에서 자소음소대응이 일어난다고 본걸까요? 자모체계에서 일어난다고 본걸까요?
잘롱고의 자모체계에서 자소-음소 대응이 일어나는건가요?
아니면 철자체계에서 일어나는건가요?
수업시간에 철자체계의 예로 들어주신 ‘깡’글자를 보며 까..에 ㅇ받침이니까..깡! 이라고 읽는다는 예시는 자소음소 대응인것 같은데요...
에리의 이론, 프리스의 이론은 이해가 되는데 잘롱고의 이론이 명확하게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잘롱고는 철자체계에서 자소음소대응이 일어난다고 본걸까요? 자모체계에서 일어난다고 본걸까요?
댓글목록
hero3914님의 댓글
hero3914 작성일자모체계부터 자소-음소 대응을 하여 글자를 만드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hero3914님의 답글이 맞습니다.
수업시간의 예시는 자신이 아는 부분을 먼저 지각하고 '새우' '까'
음운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깡'/ '새우깡'을 읽었다는 의미로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철자체계는 자신이 아는 단어군을 먼저 인식하고 나머지 부분을 자신의 모든 경험을 동원하여 처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