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놀이) 영역별문제집 p.233 19번 문제 27번문제 | ||
---|---|---|---|
작성자 | dlduwjd715 | 작성일 | 2019-03-27 16:17:27 |
조회수 | 1,401회 | 댓글수 | 1 |
첨부파일 | ![]() |
추시 준비로 영역졀 문제집을 사서 풀고있는데 시밀란스키 사회극놀이 요소 문제에서 너무 혼란스러워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19번 소문항 (1)에서 적목을 핸들로 대신 사용하는 것은 사물의 가작화인것은 알겠는데 핸들을 돌리믄 흉내를 내는 것은 행동 및 상황의 가작화가 될 수 없는지 궁금합니다
27번 문제에서 민지야 선화에게 "이쪽으로 오세요"라고 말해보렴은 tbc에서 모델링에 속하는건가요?
19번 소문항 (1)에서 적목을 핸들로 대신 사용하는 것은 사물의 가작화인것은 알겠는데 핸들을 돌리믄 흉내를 내는 것은 행동 및 상황의 가작화가 될 수 없는지 궁금합니다
27번 문제에서 민지야 선화에게 "이쪽으로 오세요"라고 말해보렴은 tbc에서 모델링에 속하는건가요?
댓글목록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19번 문제는 강의하는 과정에서 보다 정교하게 수정되었습니다.
현재의 지문으로 행동 및 상황의 가작화에도 해당합니다.
27번 문제는 적절한 행동을 직접 보여주는 모델링보다는 민지와 예찬이에게 놀이 내용의 전개를 지시하는 지시적 진술에 해당합니다.
사회극놀이의 구성요소가 유아의 놀이에서 복합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문제를 풀 때 늘 혼란이 있습니다.
관련되어서 좋은 문제가 나오기를 기대해봅니다.
남은 시간이 짧지만 힘 내어 공부하기를 응원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