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놀이] 사회극놀이 요소 질문이용 | ||
---|---|---|---|
작성자 | wannabez | 작성일 | 2019-03-22 14:16:29 |
조회수 | 1,676회 | 댓글수 | 2 |
먼저 2008의 꽃가게 문제 중
“나는 꽃가게 주인을 할 거야”는 초의사소통으로써 언어적 의사소통이라는 것을 이해했습니다
놀이 시작 전 역할을 배정하며 놀이를 조직 중이니까요..
2017 기출의 ㄷ “난 미용사 할래”도 개론서 안의 “다양한 역할을 언어로 나타내거나 적합한 행동을 함 이라는 측면에서 이해했고요...
그런데 도란도란 찾아보던 중에 조교 선생님께서 단 댓글 중에
“선생님 역할의 가작화라는 것은 그 역할에 대해 직접적으로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역할에 이입을 해서 흉내내는 말이나 행동을 하는 것을 뜻한답니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꽃가게 주인을 할 거야","나는 꽃 파는 사람을 할 거야"라고 말 한 것은 놀이의 상황이 아닌 놀이를 위해 역할을 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위의사소통이라고할 수 있겠네요.”
라고 하셨는데...
그럼 이 말씀대로라면 “그 역할이 대해 직접적으로 이야기 하는 것”은 역할의 가작화가 아닌가요?ㅠㅠㅠ 이입해서 흉내 내야지만 역할의 가작화인가요 조교님..?ㅠㅠ
저 댓글로 다시 혼란이 옵니다....
댓글목록
나비야님의 댓글
platonicat 작성일
안녕하세요 선생님! 가작화 상황에는 여러가지가 들어갈수 있어서 '~할거야!' 하는것은 상위 의사소통도 되고, 역할의 가작화도 됩니다!
선생님께서 찾아보신 댓글을 보면 그 뒤에,
... 그런데 역할을 가작화 하기 위해서는 그 역할에 맞는 말을 사용하거나 행동을 행해야 하기 때문에 가작화의사소통을 하는 것은 맞아요 선생님 께서 질문하신 것처럼요. 그런데 2008 문제에서는 밑줄이 있거나 어느 특정부분을 물어본 것이 아니고 통으로 찾아쓰는 문제 였기 때문에 선생님이 말씀 하신 것처럼 언어적 의사소통(대화)중 가작화 의사소통 - "어서오세요"라고 답을 달 수도 있을 것 같아요.
그러나 요즘 문제 출제 추세는 기출 경향 문제집 p155쪽 12번 문제(2014년)를 보시면 알 수 있듯이 물어보는 것에 밑줄이 그어 있고 또 사회극 놀이 요소의 하나인 언어적 의사소통 유형중()에 해당된다 처럼 구체적으로 물어보고 있어요. 헷갈리지 않게요. 그래서 답이 가작화 의사소통이 된 거예요. 만약에 그냥 사회극놀이 요소중 하나를 써라 라고 물어봤다면 역할 가작화가 될 수도 있겠죠. 그렇기 때문에 요즘은 문제에서 정확히 요구하는 것이 나온답니다.^^ ...
라고 하셨어요!
문제가 극놀이 요소를 물어보는지 언어적 의사소통을 물어보는지에따라 정답을 쓰면 될것같습니다~
wannabez님의 댓글
wannabez
역할을 가작화하기 위해서는 그 역할에 맞는 말을 사용하거나 행동을 행해야 하기 때문에 가작화 의사소통을 하는 것 처럼..
“~할 거야!” 처럼 상위 의사소통으로써도 역할의 가작화가 가능하다는 말씀이신가요...?
괜히 하나에 꽂힐 때가 있네요ㅠㅠ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