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놀이] 추시강의 3번 질문드립니다. | ||
---|---|---|---|
작성자 | uapass | 작성일 | 2019-03-17 13:01:35 |
조회수 | 1,432회 | 댓글수 | 4 |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놀이 문제 3번의 동그라미 5의 정답이 마음이론 입니다만, 조망수용능력이나 탈중심화는 답이 되질 않을까요?
답안 주시면 공부하는데 참고토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안녕하세요. 박성희입니다.
비슷하다고 생각될 수 있지만 각각의 개념을 아래와 같이 정의해놓고 보면 그 의미는 확연하게 다릅니다.
탈중심화는 자기 중심적인 사고에서 벗어나는 현상, 벗어난 상태
조망수용능력은 타인의 입장에 서서 타인의 감정이나 생각을 추론하는 것
마음이론은 나의 마음이나 생각이 다른 사람의 마음과 다르다는 것을 아는 것
개념은 각각 다르지만 탈중심화, 조망수용능력, 마음이론이 발달한 결과 나타나는 유아들의 행동에는 유사점이 있지요. 유아교육에서는 각각의 발달 결과 유아들에게 나타나는 행동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기 때문에 각 개념이 비슷하게 생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3번은 마음 이론을 설명하고 있으므로 조망수용능력이나 탈중심화는 답이 되지 않습니다.
hahaha0315님의 댓글
hahaha0315
안녕하세요, 교수님. 저도 여쭈어보려고 들어왔는데 질문이 있었군요.
그런데 댓글을 보아도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유아의 가작 놀이는 유아가 *를 발달시키는 도구의 역할을 한다. *는 타인은
자신만의 정신과 관점은 자신의 관점과는 다르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게 지문이었는데요 탈중심화도 자기 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타인의 관점이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거 아닌가요? 조망수용능력은 타인의 감정과 사고를 이해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표현까지는 안나와서 탈중심화라고 생각했어요.
또한 마음이론은 A의 마음을 이해해서 A의 입장에서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것이라고
개념을 잡았는데 어디서부터 개념을 잘못 잡은걸까요?
제 생각에는 다음과 같은 지문이 나와야 마음이론이라고 확신할 거 같은데
제가 착각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 도움을 요청해도 될까요?
[유아의 가작 놀이는 유아가 *를 발달시키는 도구의 역할을 한다. *는 타인은
자신만의 정신과 관점은 자신의 관점과는 다르다는 사실을 인식할 뿐 아니라 타인의 입장에서
타인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다.]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개념을 다시 잡아야 할 것 같습니다.
탈중심화가 일어나고, 조망수용능력과 마음이론이 발달하면 그 결과 유아는 타인의 입장에서 타인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유아가 타인의 행동을 추론할 수 있는 발달의 기제가 마음이론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닙니다~!!
uapass님의 댓글
uapass
교수님, 답변 감사드립니다. ^^
다시 한 번 3가지 개념을 정리해보고, 또 다시 인지적 갈등이 일어나면 질문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