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놀이] 사회적 요인안에 부모가 있는데 | ||
---|---|---|---|
작성자 | 05wltn0 | 작성일 | 2019-02-27 14:16:12 |
조회수 | 1,210회 | 댓글수 | 1 |
부모와 놀이와의 관계 표에서 '허용적 부모'가 많은 상호작용을 통해 자녀의 놀이를 격려하고 촉진한다고 써있고, 최미숙님의 '통제적이면서도 긍정적인 평가태도를 지닐수록'을 허용적 부모라고 했는데요.
제가 아는 바움린드의 허용적 양육태도를 가진 부모는 아이를 통제하지 않고 하고싶은 대로 할수 있게 풀어놓는다 라고 이해했는데 같은 건가요?
또 이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 개인적 요인의 성별 2번이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부모들이 자녀에게 보상과 처벌을 가함으로써 성역할 행동을 가르친다
라는 말이 가르치는게 올바르단 말인가요 아니면 이제껏 가르쳐 왔다 라고 한건가요?
댓글목록
조교쌤님의 댓글
올해는꼭 작성일
안녕하세요. 선생님~
1. “허용적 부모”는 학자에 따라서 정의가 다른거니까 첫 문단에서 말씀하신 것과 바움린드가 정의한 건 다르다고 봐야 할 것 같아요.
바움린드는 허용적부모의 양육 태도가 방임하거나 무관심하다고 정의한 거에요~
2. 부모들이 갖고 있는 성역할 행동이 아이들과 상호작용할 때 자연스레 나타나기 때문에, 유아들이 성역할 행동을 전달받기 때문이에요. 이 과정에서 부모가 갖고 있는 생각에 근거하여 유아에게 보상, 처벌을 하면서 동일한 생각을 내면화하도록 상호작용하기 때문인 것 같아요.
예를 들어, 성역할 고정관념을 가진 부모가 앞치마를 두르고 요리하는 놀이를 하는 아들에게 “너는 무슨 남자가 앞치마를 두르고 그러니!”라고 꾸중한다고 하면, 유아는 남자는 앞치마를 두르고 요리하면 안되는구나 라는 성역할 행동을 학습하게 되는 것과 같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