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놀이] 인지발달이론_피아제/주제환상극,사회극 놀이 관련 질문 | ||
---|---|---|---|
작성자 | wgkrud | 작성일 | 2019-02-07 20:41:36 |
조회수 | 1,893회 | 댓글수 | 2 |
안녕하세요
놀이 부분에서 궁금한 것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1. 인지발달이론 피아제 (교재 372p)
해당 페이지 교재의 요약에 따르면 피아제는 놀이는 조절보다 동화가 우세한 지적 불균형 상태라고 하였는데 이 부분에서 지적 불균형 상태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동화는 인지적 평형상태에 더 가깝다고 생각하는데 왜 동화가 지적 불균형 상태인지 궁금하여 질문 올립니다. 답변 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2. 주제환상극 놀이와 사회극 놀이의 특징 비교 (교재 385p)
주제환상극 놀이와 사회극 놀이의 특징 비교의 소품 부분에서 주제환상극 시 교사가 조금 더 주도적인 역할을 하면서 계획도 미리 하여 좀 더 실제에 가깝게 (실제에 가까운 의상이나 장신구 등) 소품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고 생각했는데 교재의 설명은 그 반대인 것 같아 질문 드립니다. 교재의 소품 부분 설명의 내용이 바뀐 것인지, 아니면 제가 잘못 생각한 것인지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시간 내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댓글목록
데헿님의 댓글
memememe3 작성일
1. 정확한 것을 아니지만 제가 알고 있는 예로 설명해드릴게요ㅠㅠ 놀이에서 지적 불균형이 일어나는 상태는 예를 들어 만 4세유아가 소꿉놀이를 할 때 자신이 알고 있는 아빠의 모습과 다른 유아가 알고 있는 아빠의 모습이 다르기 때문에 극놀이를 하면서 인지적 불평형이 초래할 수 있다고 알고 있어요~ 또 유아가 블록으로 탑을 쌓을 때 자신이 알고 있는 탑과 다른 모습의 탑을 봤을 때도 인지적 불평형을 초래할 수 있어요^^
2. 주제환상극 놀이는 주로 동화를 기반을 해서 하는 경우가 많다고 알고 있어요~ 그래서 현실에서 없는 소품들은 대체물을 활용하고 그 과정에서 창의성도 기르고 융통성도 기를 수 있다고 알고 있어요^^
저의 짧은 지식이 도움이 되었는지 모르겠네요ㅠㅠ
오히려 혼란만 주었을까봐 걱정이 되네요ㅠㅠ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1. 동화와 조절은 자신의 도식과 다른 새로운 경험을 만난 인지적 불균형 상태에서 인지적 평형상태로 적응하기 위한 사고과정입니다. 따라서 인지적 평형상태에서는 동화와 조절이라는 사고과정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발달 파트에서 삐아제 이론을 다시 확인하면 이해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2. 주제환상극 놀이는 유치원에서 진행하는 '동극'과 유사한 개념입니다. 상상이 포함된 동화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동화에 나오는 실물을 사용하기 어렵죠. wgkrud님이 말한 것과 같이 실제와 가까운 소품을 사용할 뿐입니다. 의상이나 장신구도 실물이 아니라 가작화된 소품, 즉 대체물에 가깝습니다. 예를 들어, 흥부와 놀부 동극을 할 때 유아들이 동화와 똑같은 옛날 한복을 입고, 실제 박과 톱을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사회극놀이의 경우에는 유아들의 사회적 경험을 극화하는 것이므로 유아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실물을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작한 대체물이 함께 사용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