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주도성 | ||
---|---|---|---|
작성자 | ansthgus95 | 작성일 | 2019-02-10 06:49:57 |
조회수 | 1,548회 | 댓글수 | 1 |
개론 28번 강의 (35분~)
"인간의 자기 의지라는 것은 신체적 자율성에다가 지적인 자율성으로서 주도성이 합쳐진 개념이다.
(중략)
주도성이라고 하는 것은 신체적 자율성에다가 지적인 자율성이 합쳐진 것을 주도성이라고 한다."
이렇게 설명해주셨는데
그럼
1. 주도성 대 죄의식 단계 뿐만 아니라 자율성 대 수치심 단계의 기본 덕목인 의지는 신체적 자율성 + 지적인 자율성으로서 주도성이 합쳐진 개념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아니면 자율성 대 수치심 단계의 기본 덕목인 의지와 설명해주신 자유의지는 별도의 개념인가요?
2. 자율성 대 수치심의 단계의 '자율성'은 신체적 자율성만 주도성대 죄의식 단계의 '주도성'은 신체적 자율성과 지적인 자율성을 포괄한 의미일까요?
댓글목록
hervq님의 댓글
hervq 작성일
1. 자율성 대 수치심 단계의 기본 덕목인 의지(자유의지)가 맞고,
주도성 대 죄책감단계의 덕목은 자유의지가 아니라 목적의식입니다.
자율성의 의지는 행동의 선택을 통한 신체의 유능감, 통제감을 강조한다면,
주도성의 목적의식은 지적능력의 향상으로 행동에 앞서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는 목적지향성으로 이해했어요.
2. 자율성은 신체적 '자율성'을 의미하는 것이고,
주도성은 신체적 자율성과 지적인 자율성을 포괄한 의미로 이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