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발달]행동주의 기출문제_체계적 둔감법/학습기제 관련 질문 | ||
---|---|---|---|
작성자 | wgkrud | 작성일 | 2019-02-06 12:24:11 |
조회수 | 2,430회 | 댓글수 | 2 |
안녕하세요^^
행동주의 기출문제를 풀다가 궁금한 것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1. 답이 체계적 둔감법인 문제 (교재 250p 4번)
체계적 둔감법이 답이되는 이유는 '처음 유치원에 온 유아의 불안함' 을 감소시키기 위해
불안한 상황에 점차적으로 노출시켰기 때문이라고 이했는데요,
반대로 이 경우 '유아가 유치원에 잘 적응 하는 행동'을 증가시킬 긍정적 행동으로 보고,
엄마가 점차적으로 도움의 양을 줄여나갔다고 보면
(하루 종일 놀이실에서 함께함 -> 자유선택활동시간 동안만 놀이하고 귀가-> 현관에서 잠시 이야기를 나눈 후 헤어져 귀가 -> 유치원 앞에서 헤어지고 바로 귀가)
용암법으로도 볼 수 있지 않을까요?
체계적 둔감법과 용암법을 구분하는 것이 어려워서 질문 올립니다.
답변 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2. 251p 6번 문항 등
문제에서 학습기제, 혹은 발달기제를 묻는 경우가 있는데요
강의를 듣고 이 문제가 행동주의와 관련한 문제인 것을 알고 풀 때는 쉽게 정적 강화라고 답할 수 있겠지만,
막상 시험장에서 '학습기제를 쓰시오'라 묻는다면 당황할 것 같아 질문드립니다.
학습기제를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요? (학습의 원리?)
그리고 만약 문제에서 발달기제 혹은 학습기제를 묻는다면 어떻게 답하는 것이 좋을까요?
시간내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댓글목록
김현숙님의 댓글
swbts13 작성일
1에서 선생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바람직한 행동증가기법과 문제행동감소 기법의 차이인거 같은데요
기출문제로만 봤을 땐
상단에 ㄱ은 ‘처음 유치원에 와서 부모와 헤어지는 것을 불안해하는 자녀를 둔 부모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이라고 적어놓았기 때문에
문제행동감소기법을 물어보는 것이라고 생각되어지네요^^
hervq님의 댓글
hervq 작성일
설명 덧붙이자면...
예시 상황이 용암법이 아닌 이유는~
유아가 어떤 행동을 배우는 과정에서 숙달되면 도움의 양을 줄여나가는 것이 용암법(비계설정이란 비슷)인데,
유치원에 처음 와서 두려워 하는 아이에게 어떤 도움도 주지 않았어요. 단지 아이가 불안해하는 환경에 대한 노출시간만 점차 늘려나간 것으로 불안에 둔감해지도록 하는 체계적 둔감법과는 차이가 있다고 이해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