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반두라 관찰학습 전형 | ||
---|---|---|---|
작성자 | min211903 | 작성일 | 2019-01-27 10:59:52 |
조회수 | 1,558회 | 댓글수 | 3 |
교재 253p
아주 중요한 내용은 아니지만 그냥 궁금해서 올립니다.
무시행 학습 전형의 정의는
행동을 해볼 기회가 없거나 모방에 대한 보상이 없음애도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라고 했는데
행동을 해볼 기회가 없다는 것은 이해가 됩니다
그런데 모방에 대한 보상이 없다는 것은
내가 관찰한 사람이 보상이 없었다는건지?
일반적으로 그러한 행동이 보상이 없다는 것인지?
아니면 내가 행동을 해도 보상을 받을거라고 예측하지 않는 것인지?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정확한 예시도 알고 싶구요 어떤 선생님께서 대리강화랑 연관이 있다고 하는데
강화가 없었는데 어떻게 모방을 할 수 있나요?
댓글목록
hervq님의 댓글
hervq 작성일
1. 관찰한 행동을 해볼 기회가 없거나 ----무시행학습
2. 모방에 대한 보상이 없음에도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대리적 강화
예로들면, 다른 친구가 양보해서 칭찬받는 모습을 보고, 기억했다가 자신도 칭찬받길 기대하고 따라했는데 강
화가 없었다.
정리해보면, 관찰학습에는
1. 관찰만 하는 것 : 관찰학습(무시행학습)
2. 관찰한 행동을 모방했는데 강화받지 못함 : 대리적 강화
3. 관찰한 행동을 모방했는데 강화받음 : 직접강화
이렇게 정리해보았는데 잘못된 점이 있으면 답글 달아주세요.
합격아니면죽음님의 댓글
min211903
답변 감사합니다. 그럼 무시행 학습 전형은 머릿속에 모방행동만 기억하고 있는 상태인가요?
실행에 옮긴 것이 아니라요?
hervq님의 댓글
hervq
무시행학습이란 단어에 그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고 이해하시면 어떨까요?
강화받는 행동을 관찰한 인지학습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