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사상> 몇 가지 질문있습니다. | ||
---|---|---|---|
작성자 | min211903 | 작성일 | 2019-01-13 23:32:21 |
조회수 | 1,981회 | 댓글수 | 2 |
1. 유아교육개론책에 있는 개념 중
교수님이 설명하신 공동 협력 체제, 교육 공동체, 포괄적 프로그램은 비슷한 맥락에서 쓰이는 용어인가요?
정확하게 구분할 필요는 없나요?
2. 페스탈로치 교육의 원리 중 사회원 원리와 생활공동체의 원리는 다른 의미 인가요? 어떻게 다른가요?
3. 사상 프린터 자료 중 (사상 3p) 3번 기초도야의 원리를 설명하셨는데 기초 도야의 원리가 생활 도야의
원리로 통합하여 어린이의 교육은 생활 속에서 삶의 문제를 소재로 전개해야한다는게
저는 노작교육의 원리와 생활 도야의 원리랑 비슷하다고 생각했는데 아닌가요? 두 개가 어떻게 다른가요?
4. 책 138p 삼위 일체론에서 교수 방법이 프린터(3P)에 있는 교육 원리 중 직관의 원리와 같은 의미로
이해해도 무방하나요?
너무 궁금해서 이 사이트에 올리게 되었습니다 ㅠ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1, 공동협력체제는 교육 공동체의 의미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교육을 위한 가정, 기관, 지역 사회의 협력적인 체제를 만들어가는 것으로 혁신 교육에서 사용하는 마을 교육 공동체가 이에 해당합니다
- 포괄적 프로그램은 교육 공동체 개념과는 다른 방향입니다.
기존의 교육 중심 또는 보육 중심인 프로그램운영에서 벗어나 건강, 영양, 복지의 영역까지 함께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특징을 의미합니다.
2. 페스탈로치 교육의 원리는 프린트로 나누어 드린 나트로프의 합자연의 원리로서의 7개 교육 원리로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책마다 설명이 조금씩 달라 나트로프가 제시한 내용으로 다시 정리한 것 입니다.
사회의 원리와 생활공동체의 원리는 서로 유사한 의미이기는 하지만 생활공동체의 원리는 가정에서 어머니의 교육을 특별히 더 강조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3. 기초 도야의 원리와 생활 도야의 원리는 교육방법적인 측면이라기 보다는 교육 내용과 관련된 원리이고 노작교육은 기능을 익히게 하는 교육 방법상의 원리라고 구분하시기 바랍니다.
기초 도야의 원리가 생활도야의 원리로 통합되었다는 것은 기초 도야를 위해서는 어린이의 생활속에서 삶의 문제를 중심으로 교육 내용을 전개한다는 의미로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면 유아교육 교수학습 방법의 원리에서 생활중심의 원리가 노작교육을 의미하지는 않지요? 즉 생활 도야의 원리는 기초 교육단계에서는 생활 속의 삶을 소재로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뜻 입니다
4. 삼위일체론과 직관의 원리는 같은 의미가 아닙니다. 삼위일체론은 페스탈로치의 교육 이론을 일컫는 용어로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육 방법 등을 총칭해서 설명할 때 사용하는 용어이고 직관의 원리는 교육 방법을 설명하는 원리로 교재에 나온 것처럼 어떤 개념의 형성을 위해 어린 학습자들에게는 실물(사물)을 직접 제시하여 감각을 통해 직관을 형성하도록 해야한다는 원리입니다.
합격아니면죽음님의 댓글
min211903
허.....얼! 교수님께서 직접 답을 달아주시네요 ... 진짜 감동입니다 ㅠㅠ
감사합니다!! 저는 인강생이라 이렇게 간접적으로 소통하는게 감격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