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사상> 플라톤, 오베르랑,몬테소리에 관하여 질문이있습니다. | ||
---|---|---|---|
작성자 | mys831 | 작성일 | 2019-01-15 16:18:19 |
조회수 | 1,485회 | 댓글수 | 1 |
1. 플라톤의 정의론에 대해서 인강 중에 교수님께서 계급의 본성에 알맞은 덕을 함양하는 것이 정의라고 말씀하셨는데, 교재를 보면 정의는 인간이 지닌 모든 덕을 하나로 완성시켜 조화를 이룰 때 나타나는 것으로 모든 사회계층을 통합시키는 원리이다. 라고 나와있습니다.
저는 책을 보고 정의가 인간 한 사람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욕망, 의지, 이성을 각각의 덕으로 함양하여 조화를 이루는 것인가?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정의가 무엇인지 개념이 명확히 잡히지 않습니다. 자세히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2. 교재 133 쪽에서 (2)교육과 복지의 통합 에 해당하는 내용을 보면 편물학교가 교구전체의 사회적 경제적 개발을 했다는 내용이 나오는데, 이 내용이 교육과 복지의 통합과 무슨 관련이 있는지 와닿지 않습니다.
교구를 사회가 개발해서 주민복지에 이바지 했다는 의미인지 정확히 알고싶습니다.
3. 몬테소리의 자동교육은 준비된 환경에서 교구를 통해 스스로 배우는 교육이잖아요.그런데 교재 155쪽을 보면 자동교육의 3단계 교수법이 나오는데, 아이들이 교구를 가지고 놀 때 교사가 의도적으로 다가와서 사물의 명칭을 가르친다는 의미로 생각이 됩니다. 근데 기출문제 보면 아이들이 교구와 상호작용할 때 교사는 관찰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하고... 그래서 자동교육에 교사의 상호작용이 포함되는지 뭔지 잘 모르겠어요.ㅠㅠ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1. 플라톤이 말하는 정의는, 샘이 제시한 인간 한사람이 각각의 덕을 함양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각각의 계급이 그 계급에 알맞은 덕( 생산자- 절제/ 군인- 용기/ 통치자- 지혜)을 함양함으로써 정의로운 사회를 이룰 수 있다는 뜻입니다. 지금 우리가 생각하는 정의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2. 편물학교가 단순하게 아동의 교육을 위해 설립된 것이 아니라 지역 사회의 거점으로서 사회경제적 개발을 위한 기능까지 담당햇다는 의미입니다. 일종의 지역사회학교의 기능을 한 것이지요. 오늘날은 대부분의 학교가 도시에 있고 학교는 단순한 교육기능만을 하지,만 그 시대의 학교는 지역의 중심 기관으로 주민들의 삶에 관여하는 전반적인 기능을 했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교구란 학습 교재가 아니라 카톨릭이나 기독교에서 종교적으로 지역을 구분하는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카톨릭은 서울 교구, 부산 교구 등으로 지역 공동체를 구분합니다
3. 자동교육은 교구와의 상호작용 이외에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도 이루어집니다. 자동교육을 단순한 교구와의 상호작용만으로 보는 것은 오개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