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반두라 사회학습이론 (강화의 유형, 관찰 학습의 효과) | ||
---|---|---|---|
작성자 | ccampe2001 | 작성일 | 2023-02-05 15:36:46 |
조회수 | 804회 | 댓글수 | 2 |
반두라 사회학습이론에서 모호한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1. 직접강화에 대한 설명이 교재에 '전통적 S-R 모형과 같이 강화가 직접적으로 주어지는 것' 이라고 되어있는데, 그럼 반두라 이론에서의 직접 강화는 강화가 주어진 어떤 행동이 다른 사람이 한 행동을 모방하여 한 것이라는 전제를 가지고 있나요?
2. 그렇다면 우연히 한 행동이나 자발적인 행동에 대한 강화는 조작적 조건화에서의 강화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3. 직접 강화와 대리 강화의 차이는 행동을 한 뒤에 주어지는 강화의 존재 여부인가요? (행동을 한 뒤 강화가 주어지면 직접 강화, 강화가 주어지지 않고 행동만 하면 대리 강화)
4. 관찰 학습의 효과에서 유도 효과와 억제/비억제 효과 중 비억제 효과의 차이가 있나요? 교재에 예시로 '과거에 매우 공격적이었던 아동의 경우 공격적인 모델과의 상호작용에서 공격적 행동이 크게 강화될 것이지만' 이라고 되어있는데 이는 유도 효과로도 볼 수 있지 않나요?
댓글목록
민와잉님의 댓글
sdr06040 작성일
일단 강화에 대한 오해가 있으신 것 같아요..! 강화=보상 이라고 오해하신듯 하여 다시 개념정리를 하고 시작할게요!
* 강화: 어떠한 행동에 대해 보상이 주어지고 이로 인해 그 행동에 대한 빈도가 증가하는 것
예) 골고루 먹었더니 -> 부모님이 칭찬을 해줌(즉, 보상 제공) -> 이로인해 골고루 먹는 행동이 증가함
이 문장 전체가 강화의 예시 입니다. 강화는 단순히 보상을 제공한것뿐만 아니라 그 보상으로 인해 행동의 빈도가 증가한 것 까지를 포함한 개념이에요!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에서는 어떤 행동인지에 초점을 두지 않습니다. 보상으로 인한 행동에 결과에 초점을 두는 것이에요 따라서 1번과 2번의 질문처럼 모두 어떤 행동인지가 중요하지 않습니다.
1. 직접강화: 바람직한 행동 뒤에 직접적인 방식으로 보상을 주어 행동을 강화함
예) 공부를 열심히 하였더니(자기가 직접 공부를 열심히 한거겠죠?) 성적이 올라 부모님이 칭찬해주시자 이로 인해 더 공부를 열심히 하였다
따라서 질문해주신 내용에서 모방한 것이라는 전제를 갖고있지 않습니다. 모방한 행동일수도 아닐수도 있으므로 그건 중요하지 않은 부분이에요
2. 마찬가지로 우연히 한 행동인지, 자발적인 행동인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즉 우연한 행동으로 인한 결과가 곧 조작적 조건화다 라는 말은 맞지 않습니다! 행동이 증가했는지, 감소했는지에 대해 관심을 두기 때문에 질문하신 내용은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에 대해 이해가 덜 되신듯 하니 강의를 다시 들어보셔요!!
3. 강화에 대한 오개념을 가지신듯해요! 직접강화와 대리강화의 차이는 보상을 직접 받았는지 아닌지의 차이입니다.
대리강화는 타인이 보상받는 것을 관찰한 후 자신도 그러한 행동을 하는 것이므로 타인이 보상받는 것 자체가 행동을 하게 되는 원인이 됩니다. 그로 인해 행동의 빈도가 증가하는 것이지요.
하지만 직접강화는 자신이 직접한 행동으로 인해 직접 보상을 받고 그로인해 행동의 빈도가 증가하게 되는 것입니다.
4. 유도효과는 모델-강화 조건이고 억제비억제 효과는 모델-처벌 조건입니다~ 따라서 억제비억제 효과는 보통 좋지 않은 문제 행동에 대한 얘기가 나오겠죠? 문제 행동을 감소시키기기 위한 처벌조건이니까요
추츄님의 댓글
ccampe2001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