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2018사회관계 기출 질문드립니다. | ||
---|---|---|---|
작성자 | seeclos2 | 작성일 | 2018-10-13 00:04:39 |
조회수 | 1,447회 | 댓글수 | 2 |
유아들이 한 곳에 모아 놓고 교실에서 발생하는 갈등상황이나 공통적인 관심사에 대해 각자 생각이나 느낌을 말하고 의견을 공유하는 방법
- 위와 같은 사례는 토의활동인데
이야기 나누기, 추론 활동과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알고 싶어졌어요.....어떠한 점에 포인트를 잡아야하는 걸까요?
댓글목록
myid726님의 댓글
myid726 작성일
유아들이 한 곳에 모아 놓고 교실에서 발생하는 갈등상황이나 공통적인 관심사에 대해 각자 생각이나 느낌을 말하고 의견을 공유하는 방법
에 대해 관점을 달리하면 여러 답이 가능할 수 있겠지만,
기출에서처럼 무엇을 묻는지가 포인트일 것 같아요!
그렇게 생각하면 다 이야기 나누기가 될 수 있구 이야기 나누기가 아닌 활동이 없어요
문제에서 저 사례에 적합한 답을 어떤 답을 염두해서 냈을 지 생각해보면서 보면
구체적으로 <토의활동>으로 적어야 할 것 같아요 ㅎㅎ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이야기나누기는 위의 샘이 말한 것처럼 현장에서는 포괄적으로 사용되지요. 하지만 굳이 이를 구분한다면 토의는 함께 모여 하나의 주제에 대해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며 의논하여 공유된 생각을 만들어 가는 것이고
이야기나누기는 예를 들면 주말지낸일 이야기나누기처럼 주로 유아들의 다양한 경험을 나누는 것이지요.
추론활동은 이야기나누기의 형태로 진행되겟지만 일종의 교수 전략으로서 추론활동은 사회적추론, 정서적추론, 도덕적 추론 등으로 구분되면 각각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가에 따라 다릅니다. 사회적추론=귀납적 추론은 주로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행동 양식에 대해 그 행동이 왜 중요하고 그렇게 하지 않으면 어떤 부정적 영향이 있는지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중심으로 진행하는 교수 전략입니다. 도덕적 추론은 도덕적 갈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등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고, 정서적 추론은 정서적 갈등이 일어났을 때 나에게(친구에게) 일어난 정서가 무엇이고 그런 정서적 문제를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아보고 결정하고 적용해보는 활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