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예술경험 도식기와 도기호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 ||
---|---|---|---|
작성자 | seeclos2 | 작성일 | 2018-10-13 00:06:17 |
조회수 | 2,019회 | 댓글수 | 2 |
유아 미술 표현상의 특징 중에 하나인 도기호와
유아 발달단계 중 도식기의 차이점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도기호: 유아들이 상징으로써 도식화한 도기호.
도식기: 유아들이 자신만이 만들어놓은 개념의 구조.
도식기 유아들과 유아들의 미술 표현 중에 하나인 도기호와 차이가 어떻게 되나요? 자꾸 공부하다가 의문이 들어서 질문드립니다ㅜㅜㅜ
댓글목록
ysy908님의 댓글
ysy908 작성일
제가 이해하기로는
도기호란 유아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상징화된 기호로서 나타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화지에 그려진 해는 지금이 낮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나무는 밖임을 의미합니다.
도식기는 좀 더 자료를 찾아보니
도식이란 의도적인 경험으로도 변화시키지 못할 정도로 계속 반복되어 이루어진 어린이의 개념이라고 해요. 즉 이 시기에는 이전 시기에 감각을 통해서 점진적으로 형성한 것들이 하나의 개념 도식이 되는 것이죠.그예로 공간 개념을 기저선으로 표현합니다.
전도식기에 사용하는 도기호는 초보적인 표상 시도에 해당하지만,
7~9세 도식기는 반복적인 경험을 통해 형성한 개념을 좀 더 정교하게 그림에 나타낼 수 있는 단계인 것 같아요. 아래 내용을 참고해 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
전도식기 ( Pre-schematic stage ) : 4~7세
표상 시도의 초기 단계로 주로 유치원 시기에 해당합니다. 의식적으로 자신의 주변 세계와 관련을 지은 그림을 그려서 의사 표현을 합니다. 이때의 그림으로 유아가 중요시하는 것을 알 수 있어 유아의 사고 과정을 엿 볼 수 있습니다. 유아들은 보통 사람을 많이 그리는데 '두족인', 즉 원을 중심으로 팔 다리를 마치 태양과 같이 인물을 그리게 됩니다. 형태들은 도형의 기본인 세모, 네모, 동그라미를 기본형으로 선들과 연합하여 그리며, 기저선, 사람, 집, 나무, 꽃, 태양 등 도기호들을 사용합니다.
3. 도식기 ( schematic stage ) : 7~9세
형태 개념의 성취 단계로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에 해당합니다. 이 시기의 도식은 경험의 내용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으며 독자적인 표현 방법이 나타납니다. (공간도식: 기저선 등장, 도식의 이탈: 그림에서의 과장, 생략)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유아 미술 표현의 특징중 도기호라함은 그림기호라는 뜻입니다. 즉 유아들의 그림은 자신의 생각을 나타내는 언어와 같은 기능을 한다는 뜻입니다
도식은 유아들이 도형을 이용하여 그림을 그리게 되면서 이러한 도형들을 사용하여 자신이 연습한 형태 개념을 도식화하여 나타낸다는 뜻입니다. 즉 형태 도식이 나타난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전도식기 그림은 초기 상징에 해당하고 도식기가 되면 잘 연습된 정형화된 자신만의 도식을 도형을 이용하여 그리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