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사회관계] 적중문제 p421 질문입니다 | ||
---|---|---|---|
작성자 | wildfox | 작성일 | 2018-09-20 22:26:43 |
조회수 | 1,261회 | 댓글수 | 1 |
적중문제 30번 (1)에 사례 2에서 알 수 있는 도덕적 판단의 특징이 도덕 사실주의라고 나와있는대요. 그런데 저는 교사로부터 부과된 규칙을 절대적이고 고정적으로 인식하는 거 같아 절대적 도덕성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절대적 도덕성은 답이 안될까요?! 도덕 사실주의로 답이 나와서 절대적 도덕성과 도덕 사실주의를 구분하는게 약간 혼동이 오는거같아요ㅠㅠ
댓글목록
ysy908님의 댓글
ysy908 작성일
도덕 사실주의는 다른 말로 도덕적 실재론 이라고도 하는데요.
이는 도덕 규칙이 사물과 같이 실재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도덕 사실주의로 인해
유아들은 규칙이 절대적으로 불변한다고 생각하게 되고,
행동에 의도를 고려하지 못하고, 결과에만 관심을 가진다거나,
성인이 부과한 규칙을 맹목적으로 따르는 것입니다.
각록서를 참고했을 때는
유아는 규칙은 절대자가 만들어 놓은 것이고, 따라서 누구든 반드시 지켜야 하며,
결코 변할 수 없는 것으로 믿고 있다. 피아제는 이와 같은 유아의 절대주의적 도덕적 사고를
'도덕적 실재론'이라고 부른다. 라고 합니다.
결과적으로 도덕적 판단을 할 때 나타나는 유아의 사고 특성을
물었다면, 도덕 사실주의를 쓰는게 맞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참고할 수 있는 부분들은 참고하시고, 화이팅입니다!